영성과 중독 영성과 중독 어느 중독 환자의 기도시 하나님 아버지, 오늘 우리는 알코올과 약물을, 신(神)으로 잘못 알고 살아가는 사람들, 혼란에 빠진 주님의 모든 자녀들의 이름으로 주님 앞에 나아옵니다. 그들이 주님의 사랑에 힘입어 거기서 벗어나 건강한 삶의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시옵소서. 음식이든.. 상담심리/심리치료 2007.02.25
치유목회의 현장론 치유목회의 현장론 이재범 박사 I. 시작하는 글 필자는 폐병으로 삶의 막다른 골목에서 하나님의 사랑과 권능의 치유를 통해 유턴(U-turn)한 뒤 계속해서 치유(healing)에 대해 관심을 가져 왔다. 목회를 통해서, 신학을 통해 이 주제를 연구하고 적용하는 데서 얻은 정보와 체험을 통해서 이 글을 쓴다. 하.. 상담심리/심리치료 2007.02.24
영성과 중독 영성과 중독 어느 중독 환자의 기도시 하나님 아버지, 오늘 우리는 알코올과 약물을, 신(神)으로 잘못 알고 살아가는 사람들, 혼란에 빠진 주님의 모든 자녀들의 이름으로 주님 앞에 나아옵니다. 그들이 주님의 사랑에 힘입어 거기서 벗어나 건강한 삶의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시옵소서. 음식이든 .. 상담심리/심리치료 2007.02.24
도날드 위니캇과 영성 앤 율라노프 박사(뉴욕 유니온 신학교) 번역: 이재훈(한국심리치료연구소) 여러분이 아시다시피 위니캇은 놀랍도록 단순한 문체로 사람들의 정신 깊은 곳을 어루만지는 것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진, 1971년까지 우리 곁에서 살았던 영국의 분석가입니다. 그의 이론은 환상이 지닌 긍정적인 역할, 파괴성.. 상담심리/심리치료 2007.02.24
이야기하기를 통한 상담과 치유 이야기하기를 통한 상담과 치유 손운산(이화여대) 1. 상담과 치유에서의 이야기하기의 중요성 최근에 이야기 혹은 담론에 관한 관심은 학문의 여러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다. 이러한 관심은 이제까지 실재를 묘사하는데 사용되었던 언어가 과연 실재를 얼마나 실재에 가깝게 묘사하고 있는가에 대한 .. 상담심리/심리치료 2007.02.24
Bowen의 가족치료이론과 상처받은 내면아이치유 Bowen의 가족치료이론과 상처받은 내면아이치유 내가 웃어야 세상이 웃는다 춤추라, 아무도 바라보고 있지 않은 것처럼.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노래하라, 아무도 듣고 있지 않은 것처럼. 살라, 오늘이 마지막 날인것처럼. 목 차 Ⅰ. 서 론 1 Ⅱ. Bowen의 가족체계 이론 1. 보웬이론의 발달.. 상담심리/심리치료 2007.02.24
학대(abuse) 폭력(violence) Ⅰ. 들어가는 말 Ⅱ. 학대(abuse)  폭력(violence)의 개념 1. 역사적 맥락 현재 학대와 폭력은 성과 인종, 종교, 사회교육적 한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이다. 그러나 1960년대 이전까지는 폭력이나 학대문제를 개인문제나 개인병리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심각한 사회문제로 받아들.. 상담심리/심리치료 2007.02.24
제 목: 『잃어버린 자아의 발견과 치유』를 읽고서 A. 서 론 인간 실존의 아픔 인간의 내적 갈등의 본질 일상에서 경험 불안, 두려움, 염려, 죄책감, 열등감, 수치심, 엄청난 분노 이것들은 어디서 시작 여기에 대한 문제제기 휘트필드 내재아(Child Within)가 부정될 때 거짓자아 형성 피해의식 정서적 상처 정서적 불만족의 내적 축척 만성적인 두려움, 염려.. 상담심리/심리치료 2007.02.24
영성과 기도 영성이 현실과 동떨어진 피안의 세계나 수도원만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그렇다면 이 글은 오늘 여러분이 영성의 삶을 사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정말 다 양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목회를 할 수도 있습니다. 글을 쓸 수도 있습니다. 가사를 돌보는 주부이거나 회사원일 수.. 상담심리/심리치료 2007.02.24
'비움'과 '채움'으로 완성되는 거룩 '비움'과 '채움'으로 완성되는 거룩 루터, 칼빈, 웨슬리는 성자가 아닌가? 에 대해 우리는 다음과 같이 대답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는 성자가 아닙니다 최익철 신부, 김기홍 박사, 지형은 박사의 글을 종합해 보면. 1. 가톨릭 교회의 기준을 따라 시성식을 통해 공식적으로 선언된 분들은 .. 상담심리/심리치료 2007.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