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대인 불안 자기진단 척도 1. 몸이나 마음이 떨렸다. 2.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3. 그 자리를 피했으면 했다. 4. 긴장하고 불안했다. 5. 내가 불안해하는 모습이 드러날까 봐 두려웠다. 6. 그 자리에 있고 싶지 않았다. 7. 뭘 말해야 할지 몰랐다. 8. 그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9. 두려웠다. 10. 멍청했다. 11. 그..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스크랩] 우울 진단 척도 아래 문장을 읽어보고 자신이 최근 일상생활에서 자주 그렇게 경험하는지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1. 별다른 이유 없이 피곤을 느낀다. 2. 체중이 줄고 있다. 3. 내가 죽어야 남들이 더 잘 될 것이다. 4. 안절부절 못하고 진정할 수가 없다. 5. 평소보다 신경이 더 날카롭다. 6. 변비 때문에 고..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스크랩] 스트레스 진단 척도 지난 한 달 간의 당신의 상태에 대해 아래 문항에 답 하십시오 1. 피곤이 잘 풀리지 않는다. 2. 목이 아플 때가 있다. 3. 어지럼증을 느낄 때가 있다. 4. 갑자기 숨쉬기가 힘들어질 때가 있다. 5. 귀에서 소리가 들릴 때가 있다. 6. 혓바닥이 하얗게 되어 있을 때가 있다. 7. 머리가 무겁다 8. 손바닥이나 겨드..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스크랩] 알콜 중독 진단척도 1. 최근에 취중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2. 혼자 술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3. 술로 인해 문제가 생겨 치료받은 적이 있다. 4. 취기가 오르면 술을 계속 마시고 싶은 생각이 지배적이다. 5. 술이 깨면서 몸이 심하게 떨리거나 헛것을 보거나 헛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6. 술 마신 다음날 해장술..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스크랩] 외상추 스트레스 진단척도 본 척도는 여러 가지 정신적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공포, 긴장, 집요하게 떠오르는 괴로운 기억, 정신적 둔마, 자율신경계의 과민과 같은 증상을 평가하는 척도입니다. 1. 머리가 꽉 조이는 것 같은 느낌이 자주 있다. 2. 혼자 있으면 마음이 불안하다. 3. 밤에 주로 악몽에 시달린다. 4. 미쳐버릴 것 같아 ..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스크랩] 소아 우울증 진단 척도 1. 나는 가끔 울고 싶은 기분이 들 때가 있다. 나는 울고 싶은 기분이 들 때가 많다. 나는 거의 매일 울고 싶은 기분이 든다. 2. 나는 가끔 피곤한 때가 있다. 나는 자주 피곤하다. 나는 거의 언제나 피곤하다. 3. 나는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다. 나는 자주 외로움을 느낀다. 나는 항상 외로움을 느낀다. 4. 나..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스크랩] 공격 성향 진단척도 1. 나는 다른 사람들과 자주 싸운다. 2. 나는 때때로 다른 사람을 해치고 싶은 충동을 강하게 느낀다. 3. 나는 상대방과 다른 의견이 있을 때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나의 입장을 말한다. 4. 내가 싫어하는 사람에게는 무례한 행동을 한다. 5. 나는 어떤 상황에서든지 다른 사람을 때려서는 안 된..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스크랩] 자살 생각 진단척도 고등학생 대학생 성인 1. 내게 얼마나 자주 자살하고 싶은 생각이 드는가? 대부분 자살 생각이 들지 않는다. 자주 그런 생각이 든다. 항상 지속적으로 그런 생각이 든다. 2. 내가 살고 싶은 소망은? 많이 있다. 약간 있다. 전혀 없다. 3. 자살에 대한 생각을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한 적은 있는가? 자살에 ..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스크랩] 학습 장애 진단척도 ※부모님이 평가해주십시오 1. 글자를 빼고 책을 읽거나 글자를 바꾸어서 읽는다. 2. 공상이나 생각 속에 빠져 멍해 보일 때가 있다. 3. 받아쓰기를 잘 못한다. 4. 장소나 위치를 혼동한다. 5. 숫자를 셀 때 손가락을 이용하여 센다. 6. 특정한 단어나 글자를 생각해 내는데 어려움이 많다. 7. 좌우 개념에 ..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스크랩] 우울증 자가진단 테스트 우울증 자가진단 테스트 ※ 평가는 각 문항마다 4단계로, ‘항상 그렇다’는 3점, ‘자주 그렇다’는 2점, ‘가끔 그렇다’는 1점, ‘아니다’ 또는 ‘거의 그렇지 않다’는 0점으로 처리한다. 모든 문항에 점수를 합산한 것이 자신의 총점. 합계가 21점 이상이면 전문의 상담이 필요하다. / 고려대 안암..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