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80가지 심리 테스트 80가지 심리 테스트 당신의 출세도 액세서리로 보는 심테 외로움 욕구불만 테스트 영화속 주인공 꿈과 성격 빵으로 알아보는 나의 성격 인기 높이는 비결 재미로 보는 심리테스트 초밥으로 알아본 성격 상대방의 바람끼테스트 술주정에 따른 성격보기 비상금으로 보는 성격 나는 나를 얼마나 알까? 바..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스크랩] EBS 무료 적성검사 EBS 무료 적성검사 .. EBS 무료적성검사 과잉행동장애 진단 반항성장애 진단 학습장애 진단 따돌림 자가 진단 일반성격검사1 일반성격검사2 진로지향성 검사 자율성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 대인관계능력 검사 정서안정성 검사 자기신뢰도 검사 대인관계 선호도 검사 대담성 검사 실리성 검사 우울증 검..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2.31
마음의상처 마음의 상처는 폭력을 싹트게 하는 뿌리다 정태기교수 오래 전 미국에서 겪은 일이다. 한인교회에 출석하는 여인이 하루가 멀다하고 남편에게 구타를 당했다. 남편의 구타에 견딜 수 없는 이 여인은 목사와 교우들에게 하소연하지만 어느 누구도 남의 부부 일에 깊이 개입할 수 없기에 여인의 고통은 ..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1.20
가족치료 가족치료는 생명, 교회, 민족을 살리는 운동 과거 노벨상 수상자의 삼분의 일에서 이제는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유태인 인구는 세계인구의 330분의1에 불과하다. 그런데 그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대답은 분명하다. 가정이다. 사람들은 그 이유를 유태인 부모의 교육열 때문이라고 말한다. 우리 ..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1.20
중년이 사는 길 정태기교수 인간의 발달심리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자들은 거의 모두 출생에서부터 청소년기에 중점을 두지, 중년이나 노년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의학이 크게 발달하기 전까지는 인간의 평균 수명이 40대를 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 사람들의 평..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1.20
건강한 유산, 행복한 가정 모든 인류 역사가 만남을 통해 이어져가듯이 한 사람의 역사도 만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자신이 가진 상처도 만남의 산물이요, 자신이 어떤 능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역시 만남을 통해 자신에게 주어진 유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인간은 다양한 만남의 그물망 가운데 살아갑니다. 그런데 ..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1.20
나의 아이는 정상일까? 양 혜 영(이대 심리학과 강사, 미시간 주립대학 심리학과 Ph.D.) 부모들이나 교사들이 물어 보는 가장 많은 질문이다. 한 두 개의 행동을 보고 그 아이가 정상이다 비정상이다 판단하 기는 힘들다. 정상이다 비정상이다는 보는 사람의 눈에 따라 다르다. 물론 학 계에서 정한 어떤 기준은 있다. 그럼에도 ..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1.20
[스크랩] [정신건강] 지금 나의 정신상태 어떠한가? 지금 나의 정신상태 어떠한가? 정신과력精神科歷과 정신상태검사 (PSYCHIATRIC HISTORY AND MENTAL STATUS EXAMINATION) Ⅰ.서론 정신과력과 MSE의 목적 : 진단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 제공 → 환자의 적절한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현재의 상태 를 평가. 그 환자에게만 고유한 치료적 개입의 범위를 결정. Ⅱ...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1.20
[스크랩] [정신건강] 정신과 보고서 정신과 보고서 Ⅰ. 정신과 경력 A. 예비적 신원 확인(preliminary identifition): -이름, 나이, 결혼 상태, 성별, 직업, 사용 언어, 인종, 국적, 종교, -이전 입원 경력, 함께 살고 있는 사람. B. 주요 증상: -환자가 왜 정신과 의사를 찾아왔는지를 환자 자신의 말로 설명 -환자가 직접 말하지 않은 경우 정보 제공자..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1.20
[스크랩] [정신건강] 정신과 질병의 전형적인 징후와 증상 정신과(精神科) 질병의 전형적인 징후와 증상 (Typical signs and symptoms of psychiatric illness) * 증상(symptoms): 환자가 비정상적 정신 상태에 대해 기술한 내 용. 또는 관찰자에게 병리적으로 보이는 환자의 정신적 경험 내 용. 징후(signs): 진단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 결국 예언적인 증상들 의 군집이 징후를 형성.. 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2006.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