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방어기제

힐링&바이블센터 2007. 5. 8. 01:07

defence mechanism

                   


방어기제는 자아가 합리적 방법으로 자신이 느끼는 불안감을 해결하지 못할 때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비현실적인 방법으로 불안감을 제거하려고 하는 무의식적인 심리적 기제를 말하며 다음의 종류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A. 성숙한 방어 기제


1. humor(유머) : 자타에게 불쾌한 감정을 느끼지 않게 하면서 자신의 느낌을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방어 기제.

2. altruism(이타주의) : 다른 사람의 욕구를 건설적으로 도와주는 방어 기제.

3. sublimation(승화) : 본능적 욕구나 참기 어려운 충동을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바람직한 형태로 표출하는 방어 기제이다. 예로 깡패가 권투 선수로 승화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4. suppression(억제) : 해롭고 바람직하지 못한 생각과 충동에 대해서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것을 말하다. 이 기제는 억압과 같은 목적을 갖고있지만 개인의 의식적 의도가 있는 것이다. 예로 실연, 창피 당한 기억들을 머리에서 지우려고 하는 경우이다.

5. 그 밖의 성숙한 방어기제에는 anticipation(예견), self - ascertism(자기 주장), affiliation(친화), self - observation(자기 관찰) 등이 있다.


B. 미숙한 방어 기제


1. regression(퇴행) : 생의 초기에 성공적으로 사용했던 생각이나 감정과 행동에 의지하여 자기 자신의 불안이나 위협을 해소하려는 과정으로 퇴행이란 인생이 성숙,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좌절을 심하게 당했을 경우 그 동안 이룩한 발달의 일부를 상실하고 그 마음의 됨됨이가 현재보다 유치했던 과거 수준으로 후퇴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동생이 태어나자 갑자기 하던 말을 못하고 대소변을 못 가리는 4살 어린이의 경우에서 볼 수 있다. 즉, 어떤 스트레스에 부딪칠 때 인격발달과정의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입니다.

2. identification(동일시) : 자아와 초자아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일시는 충동이 용납될 수 없는 것일 경우 충동 그 자체는 부정되지만 그 충동을 갖고 있는 어떤 사람과 동일화함으로써 받아들이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아버지의 태도나 버릇을 흉내내는 소년은 힘센 아버지를 부러워하고 사랑하면서 겁내면서 그 아버지의 남성다운 면을 동일화 한 것이다. 또 청소년들이 인기인의 의상을 모방함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찾는다. 즉, 자신이 높이 평가하는 어떤 사람의 특성을 취하여 자기 가치감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1) transference(전이) : 내재된 어떤 사람에 대한 심상이 다른 사람에게 동일하게 나타나는 방어 기제로 자기를 치료하는 정신과 의사를 자기 아버지로 여기는 것을 들 수 있다.

  (2) counter - transference(역전이) : 치료자의 무의식 속에 환자가 마치 자기 과거의 어떤 중요한 인물로 부각되는 방어 기제.

3. somatization(신체화) : 심리적 갈등이 신체 증상으로 표출되는 방어 기제로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속담을 들 수 있다.

4. 그 밖의 미숙한 방어 기제에는 행동화 등이 있다.


C. 신경증적 방어 기제 (neurotic defence mechanism)

 

1. reaction formation(반동형성) : 억압된 욕구나 충동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그와는 정반대의 행동을 하는 방어 기제이다. 성격 형성에 중요한 방어 기제로서 주로 repression(억압)과 동시에 일어난다. 강박 장애에 흔한 방어 기제로 사람을 증오하는 사람이 박애주의자나 자선사업가가 되는 것이나 적개심에 대한 반동형성으로 인해 생긴 정중하고 공손한 표현이나 과장된 감사의 표현 등을 들 수 있다. 무의식에 흐르는 소원 충동 생각 등이 너무나도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일 때, 이와는 정반대의 방향의 것을 강조함으로써 의식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이다.

2. isolation(격리) : 고통스런 기억, 생각에 결부되어 있는 감정을 의식에서 몰아내는 것, 즉 고통스러웠던 사실을 기억은 하지만 감정은 억압되는 방어 기제이다. 강박 장애에 흔한 방어 기제로 강박 장애 환자가 아무런 감정 표현 없이 논리에만 매달리는 경우나 아주 심한 감정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에서 오히려 아무런 느낌도 느끼지 않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3. undoing(취소) : 무의식에서 어떤 대상을 향해 품고 있는 자기의 적대적인 욕구로 인해 그 상대가 입었다고 상상하는 피해를 취소하거나 원상복귀, 또는 불인정 하는 행위를 하는 방어 기제이다. 강박 장애에 흔한 방어 기제로 강박 장애 환자가 반복적으로 손을 씻는 행위를 들 수 있다.

4. repression(억압) : 의식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욕망, 충동, 생각들을 무의식 속으로 집어넣는 방어 기제이다. 무의식적 과정으로서 가장 기본적이고 흔히 쓰이는 방어 기제로 자명종 시계 소리를 아침에 못 들었다고 하는 것, 귀찮은 과제는 잊었다고 하는 것이다.  죄책감이나 수치심의 경험이 억압되어 기억상실에 걸림 기억 상실을 들 수 있다. 즉, 고통스럽고 위험하고 불안을 불러일으키는 생각을 의식적인 자각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방어기제 이다.

  차이 : repression은 무의식적인 것이고 suppression은 의식적인 것이다.

5. displacement(전치, 전위) : 어떤 대상에 향했던 느낌이나 감정을 그대로 덜 위협적인 대체물에게 전이함으로서 감정적인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어 기제이다. 감정에 중점을 둔다. 예로 시어머니께 혼난 며느리가 부뚜막의 개를 때리는 것이나, 아버지를 두려워했던 아들이 말을 두려워하는 것, 좋아하는 사람에게 구애하지 못하고 그 동생과 아주 친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6. rationalization(합리화) : 무의식적인 기제로서 무의식적 동기에서 나온 행동을 지적으로 그럴 듯 하게 설명하는 방어 기제이다. 자신은 그 동기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므로 성실하고 정직하게 말할 수 있다. 예로 이솝우화의「여우와 신 포도」에서 여우가 높은곳에 있는 포도를 따려 했으나 능력이 모자라 딸 수 없었던 것을 '저 포도는 실 꺼야'라고 이야기하는 경우이다. 그 행동 속에 숨어 있는 실제 원인 대신에 자아가 의식에서 용납할 수 있는 이유, 즉 사회적 경우에 맞고 지적이며 윤리에 맞는 이유를 대는 기제이므로, 거짓말과는 다른 것이다.

7. symbolization(상징화) : 어떤 대상이나 관념에 부착된 감정을 다른 상징적인 대상 또는 관념으로 전치시키는 방어 기제로 태몽, 신화 등을 들 수 있다.

8. dissociation(해리) : 용납되기 어려운 성격의 일부가 자아의 통제를 벗어나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방어 기제로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 다중 인격, 몽유병 등을 들 수 있다. 즉, 괴롭고 갈등을 느끼는 인격의 일부분을 인격의 다른 부분과 분리하는 것이다. 

  9. intellectualization(지식화) : 받아들이기 어려운 욕구를 경험하지 않기 위해 지적 능력을 사용하는 방어 기제로 감정을 억제하고 장황한 논리를 주장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즉, 정서적인 문제를 이성적으로 설명하여 감정을 느끼지 않으려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첫 해부 실습을 하는 의대생이 '이것은 과학의 발전을 위한 것이다' 하며 끔찍함을 느끼지 않으려고 한다.


D. 자기애적 방어 기제(narcissistic defense mechanism)


1. projection(투사) : 자신이 무의식에 품고 있는 공격적 충동이나 욕구를 외부로 돌려버리는 방어 기제이다. 용납할 수 없는 자신 내부의 문제나 결점이 자기 외부에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 기제는 자신의 인격 안에 품고 있는 중요한 욕구는 인식하지 못한 채 외부 세계를 왜곡(distortion)하도록 만든다.

투사는 부정(denial)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을 미워하는데서 나오는 불안을 견딜 수 없을 때, A는 '나는 B를 미워한다.'를 'B가 나를 미워한다.'라고 자기의태도를 무의식적으로 바꾸어 버린다. 즉 받아들일 수 없는 느낌이나 생각을 자기자신의 것으로 의식하기에는 마음이 아프므로, 주관을 객관화하고 자기 감정을 남에게 뒤집어씌우는 기제로 관계망상이나 피해망상, 착각, 환청은 투사에 의한 현상이다.

2. denial(부정) : 의식화되면 도저히 감당하지 못할 어떤 생각, 욕구, 충동, 현실적 존재를 무의식적으로 부정하는 방어 기제로 불치병으로 죽어가면서도 명랑하게 장래의 계획을 세우는 환자를 들 수 있다.

3. 그 밖의 자기애적 방어 기제에는 분리, 투사적 동일화 등이 있다.


E. 그 밖의 방어 기제


1. compensation(보상) : 심리적으로 어떤 약점, 제한이 있는 사람이 이를 보충하기 위해 다른 어떤 것을 과도히 발전시키는 방어 기제로 '작은 고추가 맵다'라는 속담이나 키가 작은 사람의 공격적이고 지배적인 기질 등을 들 수 있다. 즉, 어떤 분야에서 탁월하게 능력을 발휘하여 인정을 받음으로 해서 다른 분야의 실패나 약점을 보충하여 자존심을 고양시키는 기제이다.

2. substitution(대치) : 목적하던 것을 갖지 못함으로서 오는 좌절감에 기인한 긴장을 줄이기 위해 원래 목적했던 것과 비슷한 대상을 취해 만족을 얻는 방어 기제로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이나, 오빠에 매력을 느끼는 여동생이 오빠와 비슷한 용모를 가진 사람과 사귀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정서적으로 아주 귀중한 대상이지만 받아들일 수 없는 대상이, 심리적으로 용납되는 비슷한 다른 대상으로 무의식적으로 대리 형성하는 것이다.

  차이 : substitution은 그 어떤 대체물이 되는 '대상'에 중점을 두어 말하고

         displacement는 '감정'에 중점을 두어 말한다.

3. resistance(저항) : 억압된 자료들이 의식으로 나오는 것을 막는 방어 기제로 의식화하면 너무 고통스럽기 때문에 기억이 없다는 말을 하거나 침묵하거나 불안해한다. 예를 들면 정신 분석 도중 환자가 침묵, 연상 불능, 꿈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 의자가 불편하다고 트집잡는 것 등을 말한다. 이는 무의식의 내용을 의식화 할 때 심층에서 이 의식을 방해하는 기제이다.

4. restitution(상환) : 무의식에 있는 죄책감을 씻기 위해 사서 고생을 하는 것 같은 행동을 하는 방어 기제로 가난하게 살면서 돈만 생기면 자선 사업에 바치는 사람을 들 수 있다.

5. blocking(저지) : 몇 가지 서로 연결된 생각들 가운데 뒤를 잇는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 방어 기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