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자아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힐링&바이블센터 2007. 5. 8. 01:10
  

프로이드는 자아방어기제를 이드(id) 충동의 공개적 표현과 이와 대립되는 초자아(superego)
의 압력으로부터 개인(자아)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정의했다.
이드(id) 충동이 의식으로 뚫고 나타내려는 위협에 대해 자아(ego)가 반응하는 방법은 두 가지
가 있다.

하나는 충동이 의식적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을 봉쇄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충동을 왜곡
시켜 원래의 강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거나 빗나가게 하는 방법이다.

방어기제는 적응 곤란한 장면에서 무의식 차원에서 자기를 보호하려는 한 방법이므로 반드시
이상 반응으로 볼 수는 없다.

이는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고 비교적 효과적이고 필요한 것도 있으나 방어 반응이  지나쳐
습관화되면 욕구좌절의 요소가 그대로 잠재되어서 다시 새로운 욕구좌절이 파생되고 누적되어
마침내 심각한 부적응을 일으켜 이상행동을 하게된다.

프로이트는 사람들은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한가지 방어기제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가지를 사용한다고 믿는다. 자아방어기제의 몇몇 예는 아래와 같다.

  1. 대치(displacement)
대상으로부터 올 보복 때문에 어떤 사람에게 향한 감정이나 충동의 방향을 바꾸는 방어기제이다.
예를 들어 선생님에게 꾸중을 들은 학생이 같은 반 친구를 괴롭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2. 동일시(identification)
남의 성격이나 역할을 따서 자기의 일부로 삼는 과정이다. 좋은 측면으로 보면 야망이나 이상
등 훌륭한 목표를 제공하며 아동, 청소년의 성격 지도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쁜 측면으로 보면 공상에 젖어 현실 세계에 적응 할 수 없게 된다.


3. 부정(denial)
의식적으로 참을 수 없는 생각이나 욕구 또는 현실적 존재가 무의식적으로 부정되는 과정으로
현실적인 사실을 없는 것처럼 생각하거나 자기가 바라는 데로 공상해 버리는 무의식적 기제이
다.

예를 들어 자기는 거짓말을 안 한다는 사람, 애교, 유혹적인 행동을 해서 성적인 것을 요구하면
무시와 모욕을 느끼는 여성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4. 반동형성(reaction-formation)
자아는 때로 반대행동을 함으로써 오히려 금지된 충동이 표출되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조절하거
나 방어하는 무의식적 기제이다.
자기의 욕구, 충동, 감정이 너무 받아 드릴 수 없는 것이기에 그와는 정 반대의 강한 욕구나
감정을 표현하는 심리 기제이다.

예를 들어 전처의 자식을 도가 지나치도록 사랑하는 일, 성적 욕구가 강한 사람은 지나치게 성
을 혐오한다. 또는 지나친 완벽주의자 등등이다.
반동형성은 억압된 무의식적 충동을 지적당하더라도 본인은 수긍하지 못한다. 성의, 성격, 언동
이 지나치더라도 표면은 정직하다.
이성의 한계를 넘지 않고 적응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 한 불안을 막는 유리한 기제가 된다.


5. 보상(compensation)
신체적 구조, 성격적 특성, 지적 성취 등에 대한 실제적 또는 상징적 결함을 그와 다른 측면을 잘
해냄으로서 그 결함을 극복하려는 심리기제이다.
예를 들어 성적이 나쁜 학생은 운동을 열심히 하려한다. 몸이 약한 학생은 호신술을 배운다.
보상 행동의 결과로 사회적으로 칭송받을 업적을 세우거나 성격 등이 보상의 결과로 형성되는
일이 허다하다.
거꾸로 살펴보면 인간은 자신의 콤플렉스를 극복하기 위해 열심히 살아갈 수도 있는 것이다.


6. 승화(sublimation)
자아로 하여금 충동의 표현을 억제하지 않고 충동의 목적이나 대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문제
가 있는 충동을 건전하고 건설적인 방법으로 다루는 전략이다.
원시적인 욕구(id)를 윤리적으로 받아드려서 보다 보람있는 행동 양식으로 간접적으로 표현
하는 기제이다.
욕구를 도우면서 자아(ego)의 억압이 없고 충동에 있는 에너지가 사회적으로 쓸모 있게 전용
되는 기제로서 원래의 무의식 충동은 의식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도를 닦는 성직자는 타고난 강렬한 깨달음의 에너지로 승화시키고, 강렬한 성적충동
은 예술, 운동, 학문연구로 승화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7. 억압(repression)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욕구나 충동을 몰아내고 억누르는 가장 보편적인 자아방어이다.
억압된 욕구나 충동은 겉으로는 나타나지 않지만 없어진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무서운 실패를 경험한 사람은 억압 대문에 그 때의 경험을 기억하지 않을 수 있다.


8. 투사(projection)
자신의 바람직하지 못하고 용납될 수 없는 생각이나 충동을 다른 사람 때문이라고 남에게 책임
을 전가시키므로서 자신의 열등감에서 탈피하려는 기제이다.
예를 들면 과격한 비판, 비꼬고 부정적인 태도, 편견, 비관, 염세, 혐오 등 오래 지속되면 대인
관계는 삐뚤어지고 더 오래되면 피해망상, 관계망상에 이른다.


9. 퇴행(regression)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때 우리가 흔히 쓰는 또 다른 방어기제는 퇴행이다. 퇴행은 심리성
욕 발달기의 초기단계로 되돌아가거나 단순한 어린시절 또는 유아기적의 수준으로 후퇴하는
무의식적 기제이다.
퇴행은 안전하고 즐거웠던 인생의 이전 단계로 후퇴함으로써 불안을 완화시키는 방법이다.
성인에게서 쉽게 볼 수 있는
예를 보면 화를 내는 것, 입을 내미는 것, 뾰류퉁해지는 행위, 말을 안하는 것, 어린아이처럼
말하는 것, 물건을 파괴하는 것, 권위에 도전하는 것, 무모하게 빨리 운전하는 것, 그리고
어린이와 같은 행위 등이다.
두려움이나 불안을 덜어 주기는 하나 건설적인 방법은 아니다.


10. 합리화(rationalization)
의식하지 못한 동기의 결과로 어떤 행동을 하고 나서 이치에 닿는 이유를 대는 심리기제로서
거짓말과는 다른 자기 보호를 위한 방어기제이다. 자아가 좌절과 불안을 극복하는 시도의 또
다른 방법은 현실을 왜곡하고 자존심을 보호하는 것이다.
합리화는 비이성적 행동이 타인과 자기자신에게 합리적이고 정당한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잘
못 제시한다는 점에서 불합리한 추리이다.

예를 들어 여학생에게 데이트를 신청했다가 거절을 당한 남학생이 그녀는 못생겼다고 결론을
내려 자신을 위로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상담심리 > 상담심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에 대한 자아방어기제의 유형  (0) 2007.05.08
이화방어기제 검사 척도  (0) 2007.05.08
방어기제  (0) 2007.05.08
방어기제  (0) 2007.05.08
안나 프로이드의 방어기제론  (0) 2007.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