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결 제7장 성결과 동의어들 1. 성결(거룩, Holiness) 먼저 알아야 할 것은 성결은 한문번역이고, 우리 말로는 거룩으로 번역된다. 따라서 성결이나 거룩은 번역상의 차이일 뿐 사실은 같은 말이다. 성결은 하나님의 거룩성을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성서적 용어이다. 성결의 성서 어원적 의미는 크게 세 가지.. 사역 공간/성경공부 자료실 2009.01.24
예수님의 성령의 성령론 예수님의 성령의 성령론 서 론 본 소논문의 목적은 예수님 자신의 말씀에 근거한 성령론을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한 자료는 신구약에 나타난 예수님이 성령님에 대해 직접 말씀하신 것으로 한정하였다 (실제 조사결과 성육신 전의 예수님이 직접 성령님에 대해 말씀한 것은 발견하지 .. 사역 공간/성경공부 자료실 2009.01.24
성령세례와 성령충만 성령세례와 성령충만 - 목 차 - Ⅰ. 서 론 1 1.연구의 동기와 목적 1 2.연구의 방법과 범위 1 Ⅱ. 성령의 본질 2 1.성령의 어의 2 2.성령의 속성 3 Ⅲ. 성령세례 5 1.성령세례의 본질 5 (1)성령세례의 언어적 의미 5 (2)성령세례의 성경적 이해 5 2.중생과 성령세례와의 관계 7 (1)중생과 성령세례를 다르게 보는 견.. 사역 공간/성경공부 자료실 2009.01.24
성령충만의 실제성 연구 성령충만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목 차 Ⅰ. 서 론 ............................................................. 1 A . 연구의 동기와 목적............................................ 1 B .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Ⅱ. 성령의 본질에 대한 서론적 고찰..................................... 4 A . 성령의 어의.......... 사역 공간/성경공부 자료실 2009.01.24
성령론 성령론(聖靈論:PNEUMATOLOGY) 성령님 작성자:R.E 할로우 놀라울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성령님의 본질을 오해함으로써 그분을 실재하시고 살아계신 인격체라기보다는 무슨 영묘(靈妙)한 영향력 정도로 여기고 있습니다. 성령님의 인격적 속성 또는 특징을 전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삼위의 한 분이시며 인.. 사역 공간/성경공부 자료실 2009.01.24
성령론 성 령 론 1. 성령이 무엇인가? 1) 신학적(神學的) 용어로 성령(聖靈)은 3위 일체 하나님 중에 제 3위(位)가 되신 분이라고 말합니다. 창1:1의 히브리어 원문상 하나님에 대한 단어가 복수 형태로 기록되어 있어서 직역하면 하나님들이라고 할 것이나 단순 의미로 해석됩니다. (창 1:26)하나님이 가라사대 우.. 사역 공간/성경공부 자료실 2009.01.24
성령의 사역 -성구중심 성령의 사역 2 * 성령의 사역 1,우주에 관한 성령의 사역 (시 19: 1)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 손으로 하신일을 나타내는도다 (요 1: 3)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 (요 1: 4)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 사역 공간/성경공부 자료실 2009.01.24
성령의 사역-성구중심 성령의 사역 1.성령님께서 하시는 여러가지의 사역들 2.성령을 거스리는 죄들 *성령님께서 하시는 여러가지의 사역들 1.자녀인것을 증거한다. (롬 8: 16) 성령이 친히 우리 영 으로 더불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것을 증거하시나니 (롬 8: 17) 자녀이면 또한 후사 곧 하나님의 후사요 그리스도와 함께한후.. 사역 공간/성경공부 자료실 2009.01.24
속죄 사역 속죄 사역 기독교 복음의 요점은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해 죽으셨다"는 소식을 포함한다(고전 15:3). 고린도전서 1:23,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셨음을 전파한다." 이 소식은 속죄의 진리에 직접 관계된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은 기독교의 핵심이다. 15-1. 속죄의.. 사역 공간/성경공부 자료실 2009.01.24
속죄의 방법 속죄의 방법 성기호, 성결대 명예총장 애굽에서 430년간 종노릇하던 이스라엘 백성이 폭군 바로의 압제로부터 해방되어 약속의 땅 가나안을 향해 행진하는 모습은 죄와 사망에서 해방되어 천국을 향해 걸어가는 우리의 모습과 같다. 자기들의 노력으로 구원의 길을 찾을 수 없었고 심한 박해와 고통을.. 사역 공간/성경공부 자료실 2009.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