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과 가족의 발달단계
◉ 개인의 발달단계
Freud의 발달이론 |
관련된 발달과업 |
Erikson의 발달이론 |
구강기(0-1세): Libido가 입에 집중이 시기에 Libido가 잘 충족되지 않으면 구강기고착성격형성(음주,흡연,언변...) |
수유 |
신뢰 vs 불신(0-1세): 자신의 요구에 대한 부모의 반응을 근거로 세계에 대 한 기본적 신뢰감 형성. 젖떼기 과정을 겪으면서 신뢰감이 깨지는 경험 - 근본적 불신감의 시작. 이후 인간의 삶은 자신속에 남아있는 근본적 불신감을 신뢰감으로 대체 |
항문기(2-3세): Libido가 항문에 집중 이 시기에 Libido가 어떻게 충족되느냐에 따라 항문기고착 성격형성(구두쇠 vs 자선가) |
배변훈련 |
자율 vs 수치(1-3세): 성공경험을 통해 자기몸의 조절능력에 대한 신뢰감 형성. 실패경험을 통해 수치심, 부적절감 형성. 문화권에 따라 수치심을 피하기 위해 자율성을 추구하기도 하고(미국처럼), 자율성을 억압하기 위해 수치심을 강조하기도 함(동양처럼). |
남근기(4-5세): 어머니에 대한 사랑과 아버지에 대한 질투 - Oedipus complex와 아버지의 가치관 내면화 - 초자아 형성 |
주변탐색 |
주도성 vs 죄책감(3-6세): 주변에 대한 탐색과정이 부모에게서 어떤 반응을 얻느냐에 따라 자신감이나 주도성을 획득하거나 죄책감을 획득함. |
잠복기(7-사춘기): 성적갈등이 의식 밑으로 숨고, 성인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습득에만 전념. |
취학 |
근면성 vs 열등감(6-11세): 또래들과의 경쟁, 비교를 통해, 그리고 자기의 노력이 얼마나 성과를 얻는지를 경험함으로써 형성 |
성기기(사춘기이후): 상상속의 사랑이 아닌, 진짜 이성에 대한 사랑을 하게 됨. 궁극적인 성취 목표는 결혼. |
근대적 의미의 개인(individual)으로 다시 태어나기 |
자아정체 vs 역할혼미(11-24세): 지금까지의 경험들을 중간정리하는 단계. 내가 누구인가 에 대한 중간평가. |
|
어른역할하기 |
친밀감 vs 고립감(24-35세): 자아정체가 형성된 사람만이 진정한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다는게 Erikson이 Freud와 다른점. |
|
자기 세계에서 성공하기 |
생성감 vs 침체감(35-60세): 성취하는 사람은 생성감을, 그렇지 못하면 이기적인 자기탐닉자가 됨. |
|
죽음을 준비하기 |
자아통합 vs 절망감(60-사망): '내가 누구였나' 에 대한 최종평가단계. 의미있는 삶의 통합과 후회 무가치한 삶 절망 |
◉ 가족의 발달단계
* 1단계 : 형성기(결혼 ~ 첫 자녀 출생전까지)
* 2단계 : 자녀출산 및 양육기(첫자녀 출생 ~ 첫 자녀 초등학교 입학, 약 6년간)
* 3단계 : 자녀교육기(첫자녀 초등학교 입학 ~ 중.고등학교 졸업, 약 12년간)
* 4단계 : 자녀성년기( 첫 자녀 대학에 다니거나 취직.군입대.가사협조시기, 약4~6년간)
* 5단계 : 자녀결혼기(첫자녀 결혼 ~ 막내자녀 결혼, 약6~9년간)
* 6단계 : 노년기(막내자녀 결혼 ~ 부부사망)
# 가족의 특이발달 : 이혼가족, 재혼가족, 실직자가족, 폭력가족등 특이가족
'상담심리 > 상담심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야기치료와가족치료^^ (0) | 2006.07.31 |
---|---|
[스크랩] 거부하는 내담자와상담^ (0) | 2006.07.31 |
[스크랩] 사랑의기술적대화^^ (0) | 2006.07.31 |
[스크랩] 배우자성격이해^^ (0) | 2006.07.31 |
[스크랩] 고통의선물^^ (0) | 2006.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