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게슈탈트 심리 치료의 이해 1. 이론적 배경 . 독일출생의 유대계 정신과의사 프릿츠 퍼얼스에 의해 창안 .정신분석 치료이론, 유기체 이론, 신체이론, 장 이론, 게슈탈트 심리학, 사이코드라마 연극과 예술철학, 실존철학, 그리고 동양의 도가(道家)와 선(禪)사상 등의 광범한 이론적 영향 .인간을 환경에 영향을 받는 신체와 감각, 감정, 욕구, 사고, 행동의 의미 있는 전체로 봄 2. 주요 개념 <게슈탈트> . 전체, 형태, 모습의 뜻을 지닌 독일어 . 개체는 자극의 부분을 보지 않고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로 지각 (예, 설거지) . 게슈탈트 치료에서의 개념 : 개체에 의해 지각된 자신의 행동 동기(개체는 욕구나 감정을 유의미한 행동동기로 조직하여 환경에서 완결짓기를 원함) <전경과 배경> . 전경 : 관심의 초점이 되는 부분 . 배경 : 관심 밖에 놓여 있는 부분 <미해결 과제> .완결되지 않은 혹은 해소되지 않은 게슈탈트 .계속 전경으로 떠오르려고 하기 때문에 다른 게슈탈트가 선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해함 .미해결 과제가 많아지면 욕구를 효과적으로 해소하지 못해 심리적, 신체적 장애를 일으킴 .미해결 과제의 완결이 게슈탈트 치료의 중요한 목표 3 알아차림-접촉 주기 <알아차림 접촉 주기의 단계> . 배경에서 . 어떤 유기체 욕구나 감정이 신체 감각의 형태로 나타나고 . 이를 개체가 알아차려 게슈탈트로 형성하여 전경으로 떠올리고 .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에너지(흥분)를 동원하여 . 행동으로 옮기고 . 마침내 환경과의 접촉을 통하여 게슈탈트를 해소 <알아차림 접촉 주기의 단절> -배경으로부터 감각이 나타나는 과정의 장애 .신체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수면, 약물복용, 정신의 해리 상태 등 ) .분열성 성격장애 : 환경의 자극을 최소화시키거나 왜곡시켜 신체감각이나 자극을 잘 느끼지 못함 -감각과 알아차림 사이의 장애 .신체 감각을 잘못 해석 (예, 불안반응을 심장마비로 성적감각을 복통이나 경련으로 해석) .욕구를 오랫동안 억압함으로 인해 생김 -알아차림과 에너지 동원 사이의 장애 .욕구를 알아차리고 해결하고 싶어 하지만 실천할 의욕이 일어나지 않는 것 .자신의 생생한 감정표현이 일으킬 결과에 대한 불합리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지식인이나 강박장애 환자에게 관찰됨 .오랫동안 내사(introjection)된 도덕규범에 의해 행동해 왔으므로 자신의 에너지에 대한 신뢰감이 없음 .의도적으로 산소공급을 줄임으로서 흥분에너지를 줄임 -에너지 동원과 행동 사이의 장애 .에너지를 동원하여 외부 환경으로 향한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차단(예, 분노를 자학으로 성욕을 자위행위나 공상으로 바꿈) .불안신경증 환자에게서 관찰 .그들이 내사한 자신에 대한 부모의 해로운 평가 때문에 발생 -행동과 접촉 사이의 장애 .행동이 목표대상을 잘 겨냥하지 못하고 산만하게 일어남으로 만족한 접촉을 못하는 경우 .음식을 먹지만 맛을 음미하지 못하고 성행위를 하지만 그저 막연한 느낌에 머뭄 .전형적으로 히스테리 환자의 행동이 여기에 해당됨 -접촉과 물러남 사이의 장애 (리듬장애) .접촉이 끝난 뒤에도 만족을 모르며 항상 긴장되어 있는 상태 : 긴장과 이완, 다가감과 물러남 등의 리듬을 받아들이지 못함 .최고와 실적 지향의 현대 사회의 잘못된 문화적 편견과 성장기의 상처와 아픔을 다시 겪게 될지 모른다는 무의식적인 공포감으로 인함 . 성과가 다소 불완전해도 받아들이고 편안하게 물러나서 음미하는 태도가 필요함 |
출처 : 서사대 기독학생회 카페
글쓴이 : 이송희 원글보기
메모 :
'상담심리 > 상담심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9.상담의 종결^^ (0) | 2006.07.31 |
---|---|
[스크랩] 10.상담면접의 종결^*^ (0) | 2006.07.31 |
[스크랩] 12.게시탈트 심리치료의 목적 (0) | 2006.07.31 |
[스크랩] 13.게시탈트 치료 이론의 방법론적특성^^ (0) | 2006.07.31 |
[스크랩] 14.게쉬탈트 심리치료의 치료자역활^^ (0) | 2006.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