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스크랩] 상담과 심리치료의차이^^

힐링&바이블센터 2006. 7. 31. 22:21
상담과 심리치료의 차이





상담과 심리치료라는 두 용어가 상당히 혼동되기 쉽고, 의미상 호환적일 것으로 믿든 경향이 있다.
심리학자이며 심리치료 전문가인 칼 로저스(Carl. Rogers)는 그의 저서 Counseling and Psychotherapy(1942) 제목 자체가[상담과 심리치료]였고, 상담과 심리치료를 각각 별개의 것이 아닌 동일한 영역으로 간주하였다. 그의 다음 저서인 Client-centered Therapy(내담자중심 치료)에서도 상담을 '치료Therapy'로 통용하고 있다. 이후 우리나라 일부에서는 '상담 치료'라는 합성어까지 사용되는 형국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전문가들(정신과 의사, 임상. 상담심리 전문가 등)의 이해 및 인식은, 이 두 용어간의 차이가 있다.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이루어지는 과정 및 사용 기법들은 대체로 동일하지만 그에 사용되는 시간은 서로 다르다.
우선, 경청(20%-60%), 질문(15-10), 평가(5-5), 해석(1-3), 지지(5-10), 설명(15-5), 정보제공(20-3), 조언(10-3), 지시(9%-1% ) 등에서 대비되는 추정통계(Corsini, 1968)가 있다. 즉, 상담에서는 설명, 정보제공, 조언 및 지시를 더 많이 하는 반면, 심리치료에서는 경청, 해석, 지지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둘째, 상담은 흔히 한 회기(session) 동안에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면담이 5회 이상인 경우가 드문 비교적 짧은 과정인 반면에, 심리치료는 대체로 5회 이상의 많은 면담으로 이루어지며 심지어 수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상담은 대체로 생활과제(문제) 중심이라면, 심리치료는 성격(인간)문제 중심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셋째, 상담자, 심리치료자로서의 전문가 및 역할수행자 측면의 특성 차이가 있다. 상담자는 특정 영역( 결혼, 청소년 교육지도 등)의 전문가로서 정보제공, 조언을 강조하는 교사적 역할인 반면, 심리치료자는 갈등적인 생각과 문제행동의 원인 탐색과 해석을 강조하는 해석자적 역할이라고 말할 수 있다.
대체로 상담자는 자신의 전문적 지식과 일반 상식에 의존하는 반면에, 심리치료자는 여러 이론들의 조합을 사용하거나 성과를 얻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절차를 활용하기도 한다.

한편, 한 전문가가 상담자 역할과 심리치료자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는 힘들지만, 전반부에서 상담적 접근을 한 후 후반부에서 심리치료적 접근으로 연결하는 경우는 가끔 발생한다. 예컨대, 부부관계 문제에서 전반부에서 부부간 대화훈련적 상담을 하고, 이후 이내 또는 남편 쪽의 성격적 관련 배경을 심리치료적으로 접근하는 경우이다.



출처 : 서사대 기독학생회 카페
글쓴이 : 이송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