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면접의 주요 방법
( 이장호의 [상담면접의 기초(1995,2판) 6장]에서 발췌 )
1. 반영
정의--내담자의 말에서 표현(수반)된 기본적 감정 및 태도를, 상담자가 다른
참신한 말로 부연(확인)해 주는 것.
효과--내담자의 자기이해를 촉진; 이해받고 있음의 확인(->안심, 개방화)
표현 방식(예)-- “당신은 .......라고 느끼고 있군요.”
“당신은 ......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것 같군요.”
관련 개념--느낌(표면-내면 감정)의 반영, 행동-태도의 반영, 반영의 시의성
반영의 고려(주의)점--상투적-반복적 사용을 피하고 선별적으로 반영함.
2. 수용
정의-- 상담자가 짤막한 말(문구)로 내담의 말(언행)을 주목하고 잇음을 나타내는것.
효과--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가 수용되고 존중되고 있음을 알게 한다.
표현방식(예)--“ 음, 예~, 그랬군요, 계속하시지요.”등.
수용의 요소--주목행동(시선, 고개 끄덕임, 미소, 자세 기울기, 상담자의 어조)
3.구조화
정의- 상담과정의 본질, 제한조건 및 준수사항 등에 관한 상담자의 안내 설명.
목적/효과--상담 진행방향의 ‘노선’표식(또는 강물의 제방)의 성격.;내담자 오리엔테이션.
관련 개념--암시적-명시적 구조화, 구조화의 간결-최소화, 행동규범의 구체화 등
불충분한 구조화의 영향- 초점의 이탈, 내담자 반응의 방어적.소극적 경향화 등
4. 바꾸어 말하기
정의-- 내담자 말의 내용을 그대로 살리면서 상담자가 다른 표현으로 바꾸어 말해 주는것.
목적/효과--내담자의 언행.입장을 구체화(재확인)시키며, 상담자가 제대로 경청.이해하고
있음을 전달(확인)해 준다.
표현(전달) 요령--요점의 분명화, 주제.초점의 부각, 전개 내용을 요약화 등.
5. 경청
정의-- 상황의 단순 듣기(hearing)가 아닌, 의미를 주목하며 듣는것(listening)이다.
여기서 상담자가 주목하는 ‘의미’란, 내담자의 입장과 느낌을 말한다.
목적-- 내담자의 ‘주목욕구’를 충족시키고, 자기 진술(개방적 표현)을 촉진시킨다.
경청의 요소--상담자의 시선, 자세, 몸짓, 상담자의 언어(첨삭.별도 질문을 안함 )
6. 요약
정의--내담자의 생각.감정.입장 등을 상담과정(중간, 후미)에서, 상담자가 하나로 묶어 정리하는 것이다.
목적/효과--상담의 올바른 진행.연속성을 기하면서 내담자가 미처 의식하지 못한 측면을 명료하게 의식화 시킨다.
표현 방식 예:--“당신이..직장, 가정, 학교 등)..에 관해거 말한 것을 들으니, 많은 면에서
...(아쉬움, 실패감, 보람, 등)..을 느끼고 있군요.“
“ 당신은 현재의 직업 (내용, 득실. 장단점, 불만족 등)...을 말씀하셨지요. 새로울 경력을 쌓는다면 현재로서 고려할 점들이 무엇이 될지 궁금해 집니다.”
“오늘 면담에서 우리가 나눈 이야기를 종합한다면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
요약의 과정-- 내담자의 언행 중 주요 부분(감정 포함)에 주목 -> 파악된 이들 주요 내용과 감정을 통합하여 전달(언급)한다. ->상담자 자신의 새로운 견해를 추가하지 않도록 한다. 상담자 또는 내담자가 직접 요약하는 것이 좋을지를 판단하고 진행한다.
7. 명료화
내담자의 언행 중에서 모호한 부분을 확실히 의식화하도록 상담자가 도와주는 언급이다.
또한 내담자로 하여금 불분명한 부분을 분명하게 다시 말해주도록 상담자가 요청할 수 도 있다. (그 부분을 예를 들어 다시 말해 주시겠어요?“)
목적/효과-- 내담자의 자기 탐색 과정을 선명화.구체화함으로써 상담과정을 촉진시킨다.
바꾸어 말하기(재진술)와 다른 점--내담자 말의 의미를 상담자가 생각하고, 이 생각한 바를
내담자에게 다시 말해 준다는 면에서 다르다. 상담자가 상황을 어떻게 보고 이해.설명하느냐에 (명료화가) 관계된다.
명료화의 지침-- 모호하고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밝히고,
내담자 스스로 자기의 말을 재음미하도록 하거나. 구체적인 예로 명확히하도록 요청하고,
그런 후 상담자의 후속 반응으로 내담자의 이전 반응을 명료화한다. 그리고 상담자의 반응은 개인적.주관적 반응이 되지않도록 하며, 직면과 같이 직접적이고 강렬하지 않도록 한다.
8. 해석
정의--내담자로 하여금 자기 문제(입장)를 새로운 각도에서 이해하도록 그의 생활경험. 행동의 의미를 밝혀 설명해주는 것이다. 즉 내담자 무의식과정의 의식화과정이며, 새로운 참조체제(준거)의 제공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해석 표현 예:- -“결근이 많았기 때문에 난처해졌고 정말 걱정이 되겠군요(느낌의 반영).
그럴 사정이 있었겠지만 회사에서의 입장이 곤란랄 정도로 결근을 너무 많이 한 셈이군요 (명료화).
여러번 결근한 입장에서 회사의 윗사람들이 당신을 어떻게 보고 있을지 걱정(불안)된다는
말이군요(-> 해석).
관련 개념;- -해석자(상담자)의 이론적 입장, 해석의 수준, 진행방향 등.
9. 질문
개방적-폐쇄적 질문, 직접-간접 질문, 이중.복수(질문 공세식) 질문,
내담자 질문의 고려점-의미, 타인.상담자.자신에 관한 질문
“왜?”라는 상담자 질문의 고려점
질문 방법의 종합(요약)- 형태,시기, 침묵의 처리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