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스크랩]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힐링&바이블센터 2006. 7. 31. 22:17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金 善 男


경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교수


제 1 장  집단상담의 기본적 요소들 

  집단상담의 개관, 집단과정의 발달 단계, 집단의 역학, 집단의 지도성, 집단원 역할행동에 관한 내용을 소개한다.

  1. 집단상담의 개관

  집단상담은 발달․예방적 목표와 치료적 목표를 가지고 운영된다. 일반적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상황의 집단상담은 발달/성장․예방적 목표에서 이루어지고, 병원 상황의 집단상담은 치료적 목표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집단상담은 내용중심과 과정중심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기주장, 가치명료화, 부끄럼 극복, 금연, 금주 집단은 내용중심이고 자기성장은 과정중심이다. 자기성장 집단상담은 특정 문제의 내용에 관계없이 참여자에게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개방의 학습과정을 위주로 운영되기 때문에 과정중심이라 할 수 있다(이형득, 1999). 대체로 집단상담은 성장/발달 지향적인 경향이다. 집단은 의식적 사고, 느낌, 행동에 긴장을 유발하여 내적 자원을 발견하거나 자기-패배적 행동을 변화시키며, 더 나아가 의식의 속박을 벗어 무의식의 자원과 접촉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이들 관심사를 자유롭게 나누고 탐색할 수 있도록 신뢰의 분위기를 만드는 공감과 지지를 마련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황적 위기와 일시적 갈등에 직면시키기도 한다. 집단상담자는 언어적 및 비언어적 기술을 사용하며 마찬가지로 조직적 연습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일반적 기술은 반영(집단원의 언어적 및 비언어적 메시지를 비춰 줌), 명료화(집단원들이 말하거나 느끼는 것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도록 돕는 것), 역할연기, 해석(어떤 행동의 이면적 의미를 짐작하는 것) 등이 있다. 여기서는 집단상담의 정의, 집단상담의 가치, 성장 지향적 집단상담의 목표들에 관한 내용을 소개한다.


1) 집단상담의 정의

집단상담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소개하고, 이들 정의를 종합한다:


* “집단상담이란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의도에서 그들 스스로와 그들의 조직들을 탐구, 조사하는 한 사람의 상담자와 몇 사람의 성원들이 관련되는 하나의 대인간의 과정이다”(hansen, Warner & Smith, 1976)

1.1.1.1.1.1. * “집단상담은 6명에서 12명까지의 학생들이 집단지도성의 훈련을 받은 한 사람의 유능한 전문가의 지도 아래 교육적, 직업적, 사회적 및 개인적 가치 등에 관한 그들 상호간에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는 과정이다“(Bates & Johnson, 1972)

* "집단상담은 주로 하나의 관계인 동시에 하나의 과정이다. 이는 집단역학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고, 또 그 집단의 요구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사람의 전문적 지도자의 지도하에서 이루어지는 그 집단의 상호관계성의 역학 위에 기초하고 있다.“(Jackson, 1969)

* "집단상담은 비교적 건강한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을 괴롭히는 문제들을 서로 내어놓고 토의하도록 돕고, 행동적인 용어로 정확한 치료 목표들을 정의하도록 도우며, 상담과정에서 스스로의 진전은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을 발달시키도록 돕고, 그들로 하여금 다른 대체행동들을 탐색하고, 가장 적절한 대안을 선택하고, 깊이 관여하며, 자신감을 기르고, 또한 선택한 해결법을 실제 적용하는 기술들을 발달시키도록 돕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Ohlsen, 1975)

* "집단상담은 보다 깊은 수준의 자기이해과 자기수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집단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하나의 과정이다. 여기에는 상호존경과 수용의 분위기가 요구된다. 그렇게 되면 개인들은 행동의 의미와 새로운 행동방식을 탐색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자신의 방어를 늦출 수 있게 될 것이다. 취급하는 문제들은 병적 장애나 현실의 왜곡에 보다는 오히려 각 성원의 발달적 과업에  집중된다“(Mahler, 1969)

* "집단상담은 의식적 사고와 행동, 그리고 허용적 현실에 초점을 둔 정화, 상호신뢰, 돌봄, 이해, 수용 및 지지 등의 치료적 기능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역동적 대인간의 과정이다. 치료적 기능들은 동료 성원들과 상담자(들)가 하나의 작은 집단에서 사적인 관심거리들을 서로 털어놓고 이야기함으로 이룩된다.  집단의 성원들은 포괄적인 성격의 변화를 요할 정도로 심한 문제를 갖지 않은 근본적으로

출처 : 서사대 기독학생회 카페
글쓴이 : 이송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