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 돌리지 말자 등 돌리지 말자 --> 등 돌리지 말자 세상 살면서 어지간한 일로는 등 돌리고 살지 말라. 세상을 한 바퀴 온전히 돌아야만 비로소 그의 얼굴을 마주볼 수 있느니. - 박정호 외《으악! 하고, 꽃이 핀다》에 실린 신양란의 시 <세상 살면서>(전문)에서 - * 등 돌리고 돌아서면 다시는 안 볼 것 같아도 그렇.. 지식iN/책속의 명구 2006.08.15
배려 < 배려한다는 것은 > 앞을 볼 수 없는 맹인 한 사람이 물동이를 머리에 이고 손에는 등불을 들고 우물가에서 돌아오고 있었다. 그때 그와 마주친 마을 사람이 그에게 말했다. "정말 어리석은 사람이군! 자신은 앞을 보지도 못하면서 등은 왜 들고 다니지?" 맹인이 대답했다. "당신이 나와 부딪히.. 지식iN/책속의 명구 2006.08.15
우울한 기분을 조심하라 우울한 기분을 조심하라. --> 우울한 기분을 조심하라. 기분이 우울하면 인생 또한 우울해 보이기 마련이다. 자신이 왜 그런 식으로 느끼는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토론할수록 우울한 기분은 오랫동안 지속된다. 우울한 기분에 관심을 쏟고 머리를 짜내어 해결하려 할수록 상황은 더 악화될 뿐이다. .. 지식iN/책속의 명구 2006.08.15
행복의 어원 행복(Happy)의 어원 --> 행복 Happy 의 어원은 행운 Hap 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그리고 행복 Happy 은 우연 Chance 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합니다.불운 mishap 이나 사건 happening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행복은 행운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예측할 수 없는 인생에서 갑작스러운 행운을 잡은 사람을 보고 행.. 지식iN/책속의 명구 2006.08.15
리더는 밀지않고 끌어당길 뿐이다 리더는 밀지 않고 끌어당길 뿐이다. --> 부하 직원들이 있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리더십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만일 사람들이 당신을 자발적으로 따르지 않는다면 당신은 훌륭한 리더가 아니다. 드와이트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장군은 실 한 가닥을 가지고 리더십 을 설명하곤 했다. 그는 실을 테.. 지식iN/책속의 명구 2006.08.15
같이 있는 행복 같이 있는 행복 --> 벗들이나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은 행복을 얻는 방법 중에서도 으뜸가는 것에 속한다.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아무 행위도 하지 않고 그저 함께 앉아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 서로를 바라보아도 되고 바라보지 않아도 된다. 같이 있으면 기분 좋은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다는.. 지식iN/책속의 명구 2006.08.15
바람이 부는 이유 바람이 부는 이유 -->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것은 널 강하게 하기 위해서야. 바람이 불지 않았다면 넌 뿌리가 약해 어쩌면 금방 쓰러지고 말았을지도 몰라. 그런데 바람이 강하게 자꾸 불어오니까 넌 쓰러지지 않으려고 깊게깊게 뿌리를 내린거야. 그게 다 바람이 널 위해서 한 일이야. 사실 우린 바람에.. 지식iN/책속의 명구 2006.08.15
그대, 가급적이면 말을 듣는 쪽에 서라 그대, 가급적이면 말을 듣는 쪽에 서라 --> -그대, 가급적이면 말을 듣는 쪽에 서라.- 먼저 생각하라. 그 다음에 말하라. 그리고, 사람들이 싫증내기 전에 그치라. 인간은 말함으로서 동물보다 훌륭하다. 그대가 한 말은 그대 마음을 담은 한폭의 그림이란걸 잊지 말라. ㅡ이규호 편저《에세이 채근담》 .. 지식iN/책속의 명구 2006.08.15
위대한 사람 위대한 사람/고은 --> 소년은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을 만나고 싶었다. 그래서 소년은 집을 나와 오랫동안 여러 곳을 돌아다녔다. 험한 산길을 헤매고, 모래뿐인 사막을 휘청거리며 걸어다녔다. 목이 마르고 온몸이 부서질 듯 피곤했다. 그러나 끝내 소년은 '위대한 사람'을 만날 수가 없었다. 소.. 지식iN/책속의 명구 2006.08.15
사소한 행복의 순간들이 모여서 사소한 행복의 순간들이 모여서 가장 큰 행복은 해변가에서 안락의자에 누워 있을 때 느껴지는 것이 아니다. 삶의 최고의 순간은 수동적이거나 긴장을 푼 상태가 아니라, 육체와 정신이 팽팽하게 긴장되어 있을 때 다가온다. 행복은 당신의 마음 속에 호기심의 불꽃이 타오르는 것을 느끼고 그 불꽃에.. 지식iN/책속의 명구 2006.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