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스크랩] 지적하는기술^^

힐링&바이블센터 2006. 7. 31. 21:25
칭찬과 지적
[긍정피드백과 직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싶고, 영향을 미치고 싶으면 두 가지 기술을 익히면 좋다.

칭찬의 여러 가지 형태

1. 칭찬이란? -
사랑의 언어중 하나이다.
게리 호프만은 인간이 사랑으로 감지하는 5가지 언어가 있다 고 한다.
① 육체적 접촉 - 사랑을 전달하는 강력한 언어이다. 한 번의 포옹이 스트레스 하나를 날려버리며 열 번의 포옹이 심각한 스트레스를 날려버린다. (안아주세요 책을 보라) 그러나 문제점이 있는데 싫어하는 사람은 싫어한다.
② 인정하는 언어 - 인정하는 언어를 사랑의 언어로 크게 받아들이는 사람이 있다. 이사람은 끊임없이 인정 받으려고 하며 인간이면 본능적으로 인정과 사랑의 욕구를 추구한다.  이 사람은 비판이나 질책이 더 스트레스를 받는다. 인정할 때는 존재, 성격, 가치관 등을 인정하면 좋다.
③ 함께하는 시간 - 같이 있어야 사랑한다는 느끼는 아이는 엄마 곁을 떠나지 않는다.
④ 선물 - 선물이 사랑의 언어인 사람은 선물받으면 자랑하고 애착하고 편지나 선물 같은 것을 버리지 못하며, 선물을 사주면 어지간한 실수가 용서가 된다.
⑤ 봉사 - 누군가 나를 위해 힘과 노력을 주고, 받고 있다고 생각하면 사랑을 받는다고 느낀다.
사람은 이 다섯 가지중 가장 강력하게 사랑의 언어라고 생각하는 것을 나름대로 가지고 있다

오늘은 두 번째인 인정하는 언어인 칭찬에 대해 배우고 연습해 보자.
칭찬은 아무리 해도 해가 되지 않고, 동기와 의욕을 고취하고, 잠재력을 발휘하게 하며, 일을 제대로 하려고 하며, 고래도 춤추게 한다. 고래를 춤추게 하는 것은 먹을 것이 아니라 칭찬이다.  인정이고 지지이고 격려이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인정과 사랑과 지지와 격려를 받고 싶어하고 또한 그것을 받아야 살아 갈 수 있는 존재이다. 예)구름과 햇빛 중 나그네의 옷을 벗기는 것은 햇빛이다. 칭찬 리더쉽이란? 칭찬하고 인정하면서 그 사람을 알아주는 것이며, 그로 인해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에게 신명을 다하는 것이다. 칭찬이란 인간관계의 탁월한 접착제이다.

2. 칭찬에 대한 잘못된 편견-
칭찬할게 없다. 칭찬하면 사람 망친다. 더 잘하게 하려면 칭찬보다는 지적해야 한다. 칭찬은 아첨이다.
칭찬을 어색해 하는 사람은 있지만, 기분 나빠 하는 사람은 없다. 하나의 행동을 보고도 관점을 자유롭게 하면서 얼마든지 칭찬을 할 수 있다.

3. 칭찬의 모습이지만 칭찬이 아닌 것과 칭찬할 수 있는 것

칭찬이 아닌 것
그 가방 예쁘다. 그 머리 어디서 했어? 그 야채 아주 싱싱하다. 이러한 것들은 그 사람을 칭찬하는 것이 아니고,
가방, 음식, 머리를 칭찬하는 것이다. 사실칭찬과 사람칭찬은 다르다. 사실칭찬은 그 사실을 칭찬하는 것이고, 사람칭찬은 그 사실을 잘한 사람을 칭찬하는 것이다. 사실칭찬은 그 사람의 자아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 힘이 약하다. 사람 칭찬은 그 사람의 자아상에 영향을 주고 자존감을 높여 준다.

칭찬 할 수 있는 것
잘 한일(사실), 그 사람의 의도, 성격(수용성등), 가치관, 습관 및 생활태도, 생애목표, 문제 해결, 의사결정 능력, 대인관계 방식, 등 정확한 기준은 없다. 눈에 띄는 대로 하면 좋다. 이것이 되려면 내가 어떤 사람이냐가 중요하다.

4. 칭찬의 방법-
나열식 칭찬 -열정적이고, 냉철하고, 직관적이고, 실용적이고, 단순하고, 유연하며 등으로 열거해준다.
심층식 칭찬 - 자기도 동의할 수 밖에 없는 그동안의 증거와 테이터를 자료로 하여 깊이 칭찬을 해주는 것, 이것을 하려면 관찰을 좀 해야 한다.
대비식 칭찬 -너그러우면서도 엄격하고, 규격이 있으면서도 자유롭고, 틀을 갖춘듯 하면서도 진심을 담기에 충분하고,  TA의 다섯가지 자아를 대비시켜서 하는 칭찬.
구성식 칭찬 - 맞춤식인데, 그 사람에게 지금 절실히 필요한 칭찬이 무엇인가를 알아서 하는 것이다.

5. 일을 수행 했을 때 사람들의 반응-

① 무반응 - 가장 일반적 반응으로 아무도 어떤 것에도 반응을 하지 않는다.
② 부정적 반응 - 뒤통수치기 반응으로 놔뒀다 공격하는 식이다.  잘 할 때는 아무 말도 안하다가 잘못되면 공격한다. 화내고, 비난하고, 벌을 내리거나, 어느 순간 갑자기 소리를 버럭 지른다.  이러한 반응은 사람을 좌절시키고, 분노하게 하며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가끔 청소년들은 이런 반응의 관심이라도 얻고 싶어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③ 긍정 반응 - 일을 잘했을 때, 마음에 들때, 흡족 할 때 그때 그때 기분좋은 자극을 주면서 반응을 보인다.  잘해나가도록 격려받고, 인정받고, 보상 받는다.
④ 전환 반응 -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면서 가장 강력한 것으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 방법은 잘못된 에너지나 행동을 긍정적이고 건설적이며 효과적인 행동으로 바꾸어주며 이 반응을 하는 사람에게는 신뢰와 확신으로 다가온다.

출처 : 서사대상담심리학과제1회(4학년)
글쓴이 : 큰소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