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미술치료

미술치료에서의 자아심리학적 접근

힐링&바이블센터 2008. 2. 18. 23:15


1.자기 심리학(Self Psychology)
자기심리학은 Kohut에 의해 시작되고 주도되어온 정신분석학의 한 영역이다. Kohut는 주로 자기애 적 장애환자(Narcissistic Patients)들과 많은 작업을 하였고 이런 경험을 통해서 전통적인 정신분석이나 자아심리학(Ego Psychology)의 한계를 느꼈다.
1971년에 그는 자기의 분석(The Analysis of self)이란 책을 출간하였고 이것이 자기심리학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Kohut는 전통적인 정신분석학과 전혀 다른 심리적 발달에 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그는 내담자들이 내적 자아의 일차적인 관계에 의문을 가지고 자아응집(Self cohesion)혹은 자아의 합병(Consolation of the self)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내었다.
특히 Kohut이론이 전통적 견해와 차이가 있다는 점은 이전까지 병리적으로 보았던 자기애(Narcissism)를 정상적이고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으로 본 것이다.

⊙자기(Self)의 개념
Kohut은 "자기"를 역동적으로 개념화하였다.
①자기란 야망. 기술. 목표들의 형태(Patterns)와 이들간의 긴장(tension) 이것들이 만들어 내는 행동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이 시공간 내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추구하는 활동 모두를 의미하며.
②자기란 주도권을 행사하는 독립된 중추(지각의 중추)로 보았으며,
③자기는 신생아의 타고난 능력과 신생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반응성 간의 상호작용이라고 보았다.
④또한 자기는 성격의 핵심이며 평생동안 계속해서 발달과정을 겪는다.


⊙심리적 발달
아동은 출생 시부터 자기의 능력을 가지고 태어나며 Kohut는 이를 발생적 자기(Nascent self)라고 불렀다. 유아는 환경에 있는 보호자를 자기대상(Self- Object!)으로 경험한다.
①위의 자기 대상들은 유아의 정서적 신체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② 이 과정에서 유아와 환경이 통합된다.
③통합은 의식적이거나 의도적이 아니다.
④유아와 환경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필연적인 결과이다.

*발생적 자기가 발달하기 위해서는 자기발달의 세 축에 상응하는 환경의 반응을 끌어 내야한다.
Kohut의 독립적인 발달의 세 축
( Kohut는 이 세 축이 각기 독립적인 발달을 한다고 가정하였다)
①이상화된 부모상(Idealized parent image) 유아의 안전. 편안함. 보호의 욕구와 관련된다.
②과대자기(grandiose self)로 기술되며 유아 자신의 힘. 야망. 가치에 대한 느낌을 포함한다.
③대리자아(alter ego or twinship pole)이다. 타인과 같게 느끼려는 혹은 속하려는 유아의 욕구가 중심이 된다.
*Kohut는 자기애를 전통적인 입장에서 부정적으로 본 것과는 달리 건강의 징표로 보았고 심리적인 안녕 을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 보았다. 그리고 소속감을 강하고 건강한 자기애의 발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았다.

공감과 병리
공감은 발달을 촉진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유아는 보호자가 유아가 경험하는 과대자아. 이상적 부모상. 혹은 대리자아 축의 정도와 일치되는 반응을 할 때 공감을 경험한다. 만약 보호자가 공감하지 못하면 유아는 무기력 감과 부족감을 발달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유아로 하여금 근원적인 성격장애를 일으키게 하며 유전적인 소인을 가지게 되는 결과를 일으킨다고 보았다.
Kohut는 전통적인 추동갈등의 산물(정신병리)은 이런 부족감의 결과라고 보았다.

2.사례연구
치료사례인 메리는 20대 초반의 젊은 여성이며, 과다한 약물복용으로 자살 시도 후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메리는 삶의 초기에 어머니와의 건강한 공생관계를 맺지 못함으로써 상처받은 경험을 가지고 그 때문에 과장성을 만들어 그녀 자신을 위로하게 되었다.

치료 팀의 일원으로 치료자는 그녀가 입원한 동안 개인 미술치료를 하였고, 외래 환자로 그녀를 만날 때도 미술 치료를 지속 해 갔다.
그녀는 상호작용 기법에 매우 잘 반응했고 그래서 대부분의 시간동안 상호작용기법으로 함께 작업을 진행해나갔다.
증상 원인
증상원인은 삶의 초기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공감을 형성하지 못함으로써 모성적 감정이입을 받아들이지 못했고 그래서 결합력 있는 자아를 발달시키는 생의 어떤 단계를 놓쳐 버렸다.
이러한 사람들은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서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는 비언어적 대화를 표현함으로써 원초적인 관계에서 경험하는 방식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스스로 어떤 배상을 하도록 하는 상호관계에 성공적으로 참여 할 수 있게된다.
미술치료의 적용
내담자의 욕구에 미술로써 공감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이다. 내담자들의 특정한 자아발달 시도를 미술 치료자들의 공감적 반응을 통해서 자아가 이루어진다고 보고,
초기 어머니와의 연결 결핍에 관한 그녀에 대한 생각을 상호작용기법으로 그린 치료자의 그림을 내담자에게 반영해 주었으며, 그 그림에 대한 해석이 언어화되지는 않았다.
유아기 때 언어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경험에 대해 무의식적인 상담자의 반영에 의해 회복해 나가는 정신적 발아를 미술치료를 통해 얻게 되었으며, 이 미술작업은 일종의 비언어적 대화라는 것을 내담자가 믿게 되었다. 점차적으로 그녀 자신의 자아-위로를 경험 할 수 있게 되었고 어떤 미약한 관계를 형성하게되어 궁극적으로 퇴원하게 되었다.

3.진단과 치료에 관련된 사항
본질적으로 자기애적 성격장애 환자들은 자아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일부는 누군가를 계속 사랑한다거나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①과장성. 과도화된 이상이 해결하지 못한 어머니와의 관계는 이러한 연결을 시험하려는 특징이 있다.
②평탄치 않은 이들 삶에는 보다 밀착된 자아감이 필요하고 어린 시절 어머니 상으로부터의 진정한 분리가 필요하다.
③어린 시절 결핍된 조짐(sign)들을 조화시켜 미술 치료자는 자아-심리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반응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술치료는 외디푸스 전 단계 발달과정에 관심을 집중시켜야 한다. 이상화와 반영-전이에 보다 적절한 반응을 함으로서 치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과장된 자기애 적 요소를 가진 환자의 내면세계를 인식하고 반영하는 우리들(미술치료자 자신)을 연구하고 훈련시킬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이상심리학, 원호택 저, 법문사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한국미술치료학회편, 동아출판사
프로이드 심리학 입문, 캘빈S.홀, 학일출판사

'상담심리 > 미술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정이 밝아 지는 그림  (0) 2008.02.18
몸이 좋아하는 그림  (0) 2008.02.18
미술치료의 실제  (0) 2008.02.18
미술치료의 의의와 적용  (0) 2008.02.18
따뜻함이그리운 아이의 미술치료  (0) 2008.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