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술치료
눈- 시지각
손- 촉지각을 퉁해서 감정교류를 느낀다.
2. 그림 표현과 공간 구성과 심리(프로이드-무의식)
그림 표현은 인간의 내면 상태를 패턴화하여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데
그 메카니즘을 이용하고 나무, 풍경, 사람등과 같은 그림을 통해서
인간의 마음 상태를 보고 발달정도나 장애 상태를 인식하고 있다.
예> 12세 여자 아이의 도벽 - 구박, 엄격, 아빠에 대한 반항 등
이쁜 인형의 그림을 칼로 공격을 가하는 경우나 까만색으로 칠하는 경우.
반항을 하지 못해 도벽을 하게 됨.
초3 TV를 못보게 하면,
동그라미를 반복하거나 까만색을 많이 사용함. 엄마에 대한 분노가 생겨 자폐증우려.
티비를 반복해서 그리는 경우.
3. 미술치료의 견해
1) 치료에 중점을 두는 도구 (Naumburg) - Art in theraphy
-정신분석학적 정신 치료법의 도입 수단 주장
-작품이 환자의 통찰에 기초하는 것으로 심리치료로서 그림을 매체로 이용하는 방법 (정신적 병리)
-환자와 치료자 사이에서 전달된 상징적 회화 - 만든 작품을 해석
2) 미술을 중시하는 입장 (Kramer) - Art as theraphy
-작품을 만드는 과정자체를 중시_ 창조적 과정을 중시
-마음이 병든 사람을 재통합 하는데 현실과 공상, 의식과 무의식을 융합하는 데는 예술이 적합하다.
3)미술심리치료+ 치료로서의 미술 (Ulman) - Art of theraphy
Nau,berg + Kramer = 융합
4. 미술치료의 모형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모형(난화, 핑거페인팅)
-융의 분석학적 미술치료 모형(능동적 심상)
-현상학적 미술치료의 모형 (의도성 관찰: 주관적인 경험을 강조)
-게슈탈트 미술치료 모형(아르하임) : 실존적인 삶을 통한 자아의 통합 (지금-여기)
-인간 중심 미술치료 모형(로저스) : 무조건 존중, 공감, 진실성-주체성과 의미를 갖게 하는 능력,
자기실현과 인간존재의 목표
-행동적 미술치료 모형 : 발달 장애 아동이나 행동 문제의 성인에게 유용(실체적 행동 형성법)
-발달적 미술치료 모형(밀러) : 아동의 발달 과업에 맞추어 미술 활동내용의 변경
-인지적 미술치료 모형(피아제) : 미술을 통해 외부 세계의 자극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의 미술
5. 미술치료 시 주의할 점
-Rapport 형성이 가장 중요 (로저스의 인간 중심 인본주의)
낙인 : 사람 만나는 것을 두려워 한다
-그림을 잘 그려야한다는 관념 때문에 힘들다.
(형태 그리기, 자유화, 감정 색깔로 표현하기)
- HTP, KHTP, KSD, KFD, LMT
6. 실시 방법(HTP)
-A4 용지를 가로로 주면서 "집을 그리세요"
-A4 용지를 세로로 주면서 "나무를 그리세요"
-A4 용지를 가로로 주면서 " 사람을 머리부터 발끝까지 그리세요"
-A4 용지를 가로로 주면서 "다른 이성을 그리세요" (졸라맨, 캐릭터, 괴물 X)
(상,하, 좌, 우 대칭이 맞아야 함)
'상담심리 > 미술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치료의 실제 (0) | 2008.02.18 |
---|---|
미술치료의 의의와 적용 (0) | 2008.02.18 |
그림으로 보는 아이심리 (0) | 2008.02.18 |
미술치료 기법-1 (0) | 2008.02.18 |
정신분석학적 미술치료 (0) | 2008.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