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은 아이의 심리를 분석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아이의 심리 상태에 따라 인물의 위치나 크기, 신체 특징, 나무, 집 등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
그림을 그리는 동안 아이와 대화를 나누면서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심리 치료까지 자연스럽게 이끌어볼 수도 있다.
part 1 색으로 파악하는 아이 심리
단일 색으로 보는 심리 상태
빨강(Red)
자극성이 강하고 공격적이며 열광적인 성격을 나타낸다.
활동적이고 외향적인 성격을 나타내지만 난해한 기법을 사용했을 때는 격렬한 자기 주장, 흥분, 불만과 노여움을 나타내는 것. 레드를 좋아하는 성격은 자유로이 느낌대로 표현하고 행동한다.
사회 규범 같은 것을 마음에 두지 않으며 건전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
파랑(Blue)
차갑고 내성적인 것을 나타낸다. 타오르는 감정을 억제하며 머리를 식혀주고 체념할 것은 체념하고 침착한 마음으로 냉정히 현실에 대응하려는 심리를 나타낸다.
단순한 억제 색이 아니라 현실에 복종하고 적응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큰 만족과 성장을 얻으려는 심리를 담고 있다.
노랑(Yellow)
일반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렵고 특정 표시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단독적으로 사용할 때는 의존하는 성향이 많다고 볼 수 있는 한편 대인 관계가 원만하며 인기 있거나 평판이 좋기도 하다. 노랑은 유아성, 미숙성, 의존성, 응석 부림 등의 심리를 나타내므로 그림 전체가 노란색을 가지고 있다면 유아기적 행복에 찬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녹색(Green)
중성적이며, 능동적이기보다는 수동적인 경향을 띤다. 자신을 몹시 자제하고 충동적이지 않으며 주의 깊고 잘 생각해서 행동하는 통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검정(Black)
정서적인 행동이 결여되고 자유로운 감정의 흐름이 없는 색이다. 공포나 불안에 의해 생겨난 자기 억압을 반영해 엄격한 훈육, 권위적인 부모, 결손 가정, 신체적인 결함에 대한 공포를 표현한다.
보라(Purple) 무의식을 나타내는 색으로 인상적이고 신비적인 심리를 반영한다. 검정보다 더 깊은 상처를 보여주며 대인 관계에 있어서 원만치 않으며 외고집, 심술, 비사교적, 남과 잘 다투는 성격을 나타낸다.
흰색(White) 회색이나 검정과 비교해볼 때 적극적이고 자극적이다. 화려하고 경쾌한 성향을 띤다.
복합색으로 보는 심리 상태
빨강+파랑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며 질투와 불만, 만족 사이의 갈등을 표현한다.
노랑+파랑
유아 상태로 남으려는 욕구와 성장하려는 욕구의 충돌을 의미한다.
빨강+녹색
열등감이 강하고 어머니에 대한 불만을 표시, 성적 갈등과 호기심이 왕성한 것을 뜻한다.
갈색+검정
아동의 경우 도벽을 가진 정서를 반영하고 애정 부족이나 불만을 표시한다.
파랑+검정
인간관계의 조화감이 낮고 강한 반항심을 지닌 것을 나타낸다.
파랑+갈색
자신 향상의 욕구가 강한 것을 표현한다.
part 2 그림 속에 내재된 아이의 심리 분석
가족 구성원
본인을 포함해서 가족 모두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그리는데, 막대기 같은 사람이 아니고 완전한 사람을 완성시킨다. 가족 모두가 상호 작용을 하는지, 일부가 상호 작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가족의 전체적인 역동성을 파악한다. 주로 아버지, 어머니, 자기 상을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부모는 성격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대체로 아버지 상은 TV, 신문 보기 또는 일하는 모습이 많이 나타나 있고, 어머니 상은 부엌일이나 청소 등과 같은 집안 일을 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인물을 그리고 아래에 선을 그으면 불안감, 상부에 선을 그으면 깊은 시름이나 공포를 의미한다. 용지를 상하로 구분했을 때 위쪽이 리더, 좌우로 구분했을 때 우측은 활동성과 외향성을 나타내고 좌측은 내폐성와 침체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적절히 적응하는 사람은 부모 모두를 자기 우측에 그리는 경우가 많다. 중앙에 자기 상을 위치시킨 것은 자기중심적이나 미성숙한 인격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물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의사소통이 잘 이뤄지며, 얼굴의 정면은 긍정, 옆면은 반긍정, 배면은 부정적인 인물로 나타난다. 갈등이 있는 구성원은 생략하거나 신체 일부는 왜곡시킨다.
풍경화
풍경화를 분석하면 자신과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알 수 있다. ‘집-산-밭-강-길’을 순서대로 그리면 풍경의 형태가 완성된다. 그다음 꽃과 사람, 동물을 그리고 추가하고 싶은 것을 그리도록 한다. 정상적이지 못하면 이 풍경을 구성하지 못하고 순서대로 나열하는 데 그친다. 강은 일반적으로 무의식의 흐름에 비유되는데 자아 경계가 약한 자는 강가를 돌로 쌓거나 콘크리트로 방파제를 만든 그림을 그린다. 산은 주어진 상황과 전망을 나타내는데 눈앞에 우뚝 서 있거나 앞길을 막고 있는 경우 어려움이나 장애를 뜻한다. 수확한 후의 논이나 밭을 그리면 평온한 상태, 길은 남자보다 여자에게 있어 의미가 크다. 여자가 강을 건넌다는 것은 다른 세계로 간다는 것으로 결혼을 의미한다. 꽃은 아름다움과 사랑을 상징하고 강이나 물, 바다는 여러 가지 형태의 억울한 감정이 내재되어 있음을 뜻하고 태양은 밝음과 따스함으로 그려지는 반면 구름은 불안을 상징한다.
동물
동물은 자신을 표현하고 싶은 상징으로 취급된다. 사자, 호랑이 등의 강한 그림을 그리면 공격성을 띠는 내면을 표출하는 것이고 털이 부드럽고 작고 순한 동물을 그리면 긍정적인 감수성과 사랑받고 싶어하는 욕구를 드러내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인물을 1로 했을 때 동물이 더 크면 자신의 위치가 상위에 있는 것을 뜻하며, 말이나 소를 그리는 아이가 있는데 이는 등교 거부 아동에게서 종종 나타나는 현상이다.
인물화
신체 부분의 확대 혹은 과장은 그 부분의 기능에 대한 집착을 나타낸다. 큰 귀는 청각이나 다른 사람의 말을 받아들이는 것과 관련된다. 큰 손은 공격적인 태도를 나타내는데 절도 등을 행한 비행아의 그림에서 찾을 수 있다. 인물이 기울어져 있거나 옆으로 누워 있는 상은 공격적 혹은 소심한 아동으로, 보편적으로 강한 불안과 정서가 통제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포위하는 그림은 마음을 닫아버리는 것으로 보며 이것은 책상, 그네, 줄넘기, 자동차 등으로 표시된다. 단추나 액세서리를 그려 넣는 것도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크고 애정 불만족의 욕구가 드러나는 것이다. 옷을 여러 겹 겹쳐 입거나 모자를 쓰는 것은 자기 방어를 의미하고 속내를 감추는 것으로 해석된다. 선이 굵고 강하게 나타날 때는 충동이 밖으로 향하고 활동적이나 약하고 가는 선은 우울하고 소극적인 경향을 띤다.
나무
나무 그림은 성장의 열망과 자기 확장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한 것. 정신적인 성숙도를 표시할 수 있는데 줄기와 잎사귀의 크기와 양에 따라 달라진다. 나무 크기가 클수록 통찰력과 세심함이 부족하고 적의감을 표시할 수 있다. 큰 줄기는 적극성과 공격성을 나타내며 표면을 검게 칠하는 것은 긴장과 우울함을 나타낸다. 지면에 경계를 긋고 나무 뿌리를 그리는 것은 현실 지배 능력이나 미성숙함으로 표현되므로 뿌리를 그리지 않은 것은 긍정적인 결과로 볼 수 있다. 지면의 선은 불안과 의존 욕구가 강한 것을 상징하고 용지 하단에 줄을 그으면 우울한 심리 상태를 표현한다. 표면에 상처가 없고 열매와 꽃을 많이 그릴수록 문제를 일으키거나 부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아이의 심리 상태에 따라 인물의 위치나 크기, 신체 특징, 나무, 집 등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
그림을 그리는 동안 아이와 대화를 나누면서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심리 치료까지 자연스럽게 이끌어볼 수도 있다.
part 1 색으로 파악하는 아이 심리
단일 색으로 보는 심리 상태
빨강(Red)
자극성이 강하고 공격적이며 열광적인 성격을 나타낸다.
활동적이고 외향적인 성격을 나타내지만 난해한 기법을 사용했을 때는 격렬한 자기 주장, 흥분, 불만과 노여움을 나타내는 것. 레드를 좋아하는 성격은 자유로이 느낌대로 표현하고 행동한다.
사회 규범 같은 것을 마음에 두지 않으며 건전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
파랑(Blue)
차갑고 내성적인 것을 나타낸다. 타오르는 감정을 억제하며 머리를 식혀주고 체념할 것은 체념하고 침착한 마음으로 냉정히 현실에 대응하려는 심리를 나타낸다.
단순한 억제 색이 아니라 현실에 복종하고 적응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큰 만족과 성장을 얻으려는 심리를 담고 있다.
노랑(Yellow)
일반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렵고 특정 표시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단독적으로 사용할 때는 의존하는 성향이 많다고 볼 수 있는 한편 대인 관계가 원만하며 인기 있거나 평판이 좋기도 하다. 노랑은 유아성, 미숙성, 의존성, 응석 부림 등의 심리를 나타내므로 그림 전체가 노란색을 가지고 있다면 유아기적 행복에 찬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녹색(Green)
중성적이며, 능동적이기보다는 수동적인 경향을 띤다. 자신을 몹시 자제하고 충동적이지 않으며 주의 깊고 잘 생각해서 행동하는 통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검정(Black)
정서적인 행동이 결여되고 자유로운 감정의 흐름이 없는 색이다. 공포나 불안에 의해 생겨난 자기 억압을 반영해 엄격한 훈육, 권위적인 부모, 결손 가정, 신체적인 결함에 대한 공포를 표현한다.
보라(Purple) 무의식을 나타내는 색으로 인상적이고 신비적인 심리를 반영한다. 검정보다 더 깊은 상처를 보여주며 대인 관계에 있어서 원만치 않으며 외고집, 심술, 비사교적, 남과 잘 다투는 성격을 나타낸다.
흰색(White) 회색이나 검정과 비교해볼 때 적극적이고 자극적이다. 화려하고 경쾌한 성향을 띤다.
복합색으로 보는 심리 상태
빨강+파랑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며 질투와 불만, 만족 사이의 갈등을 표현한다.
노랑+파랑
유아 상태로 남으려는 욕구와 성장하려는 욕구의 충돌을 의미한다.
빨강+녹색
열등감이 강하고 어머니에 대한 불만을 표시, 성적 갈등과 호기심이 왕성한 것을 뜻한다.
갈색+검정
아동의 경우 도벽을 가진 정서를 반영하고 애정 부족이나 불만을 표시한다.
파랑+검정
인간관계의 조화감이 낮고 강한 반항심을 지닌 것을 나타낸다.
파랑+갈색
자신 향상의 욕구가 강한 것을 표현한다.
part 2 그림 속에 내재된 아이의 심리 분석
가족 구성원
본인을 포함해서 가족 모두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그리는데, 막대기 같은 사람이 아니고 완전한 사람을 완성시킨다. 가족 모두가 상호 작용을 하는지, 일부가 상호 작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가족의 전체적인 역동성을 파악한다. 주로 아버지, 어머니, 자기 상을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부모는 성격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대체로 아버지 상은 TV, 신문 보기 또는 일하는 모습이 많이 나타나 있고, 어머니 상은 부엌일이나 청소 등과 같은 집안 일을 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인물을 그리고 아래에 선을 그으면 불안감, 상부에 선을 그으면 깊은 시름이나 공포를 의미한다. 용지를 상하로 구분했을 때 위쪽이 리더, 좌우로 구분했을 때 우측은 활동성과 외향성을 나타내고 좌측은 내폐성와 침체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적절히 적응하는 사람은 부모 모두를 자기 우측에 그리는 경우가 많다. 중앙에 자기 상을 위치시킨 것은 자기중심적이나 미성숙한 인격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물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의사소통이 잘 이뤄지며, 얼굴의 정면은 긍정, 옆면은 반긍정, 배면은 부정적인 인물로 나타난다. 갈등이 있는 구성원은 생략하거나 신체 일부는 왜곡시킨다.
풍경화
풍경화를 분석하면 자신과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알 수 있다. ‘집-산-밭-강-길’을 순서대로 그리면 풍경의 형태가 완성된다. 그다음 꽃과 사람, 동물을 그리고 추가하고 싶은 것을 그리도록 한다. 정상적이지 못하면 이 풍경을 구성하지 못하고 순서대로 나열하는 데 그친다. 강은 일반적으로 무의식의 흐름에 비유되는데 자아 경계가 약한 자는 강가를 돌로 쌓거나 콘크리트로 방파제를 만든 그림을 그린다. 산은 주어진 상황과 전망을 나타내는데 눈앞에 우뚝 서 있거나 앞길을 막고 있는 경우 어려움이나 장애를 뜻한다. 수확한 후의 논이나 밭을 그리면 평온한 상태, 길은 남자보다 여자에게 있어 의미가 크다. 여자가 강을 건넌다는 것은 다른 세계로 간다는 것으로 결혼을 의미한다. 꽃은 아름다움과 사랑을 상징하고 강이나 물, 바다는 여러 가지 형태의 억울한 감정이 내재되어 있음을 뜻하고 태양은 밝음과 따스함으로 그려지는 반면 구름은 불안을 상징한다.
동물
동물은 자신을 표현하고 싶은 상징으로 취급된다. 사자, 호랑이 등의 강한 그림을 그리면 공격성을 띠는 내면을 표출하는 것이고 털이 부드럽고 작고 순한 동물을 그리면 긍정적인 감수성과 사랑받고 싶어하는 욕구를 드러내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인물을 1로 했을 때 동물이 더 크면 자신의 위치가 상위에 있는 것을 뜻하며, 말이나 소를 그리는 아이가 있는데 이는 등교 거부 아동에게서 종종 나타나는 현상이다.
인물화
신체 부분의 확대 혹은 과장은 그 부분의 기능에 대한 집착을 나타낸다. 큰 귀는 청각이나 다른 사람의 말을 받아들이는 것과 관련된다. 큰 손은 공격적인 태도를 나타내는데 절도 등을 행한 비행아의 그림에서 찾을 수 있다. 인물이 기울어져 있거나 옆으로 누워 있는 상은 공격적 혹은 소심한 아동으로, 보편적으로 강한 불안과 정서가 통제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포위하는 그림은 마음을 닫아버리는 것으로 보며 이것은 책상, 그네, 줄넘기, 자동차 등으로 표시된다. 단추나 액세서리를 그려 넣는 것도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크고 애정 불만족의 욕구가 드러나는 것이다. 옷을 여러 겹 겹쳐 입거나 모자를 쓰는 것은 자기 방어를 의미하고 속내를 감추는 것으로 해석된다. 선이 굵고 강하게 나타날 때는 충동이 밖으로 향하고 활동적이나 약하고 가는 선은 우울하고 소극적인 경향을 띤다.
나무
나무 그림은 성장의 열망과 자기 확장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한 것. 정신적인 성숙도를 표시할 수 있는데 줄기와 잎사귀의 크기와 양에 따라 달라진다. 나무 크기가 클수록 통찰력과 세심함이 부족하고 적의감을 표시할 수 있다. 큰 줄기는 적극성과 공격성을 나타내며 표면을 검게 칠하는 것은 긴장과 우울함을 나타낸다. 지면에 경계를 긋고 나무 뿌리를 그리는 것은 현실 지배 능력이나 미성숙함으로 표현되므로 뿌리를 그리지 않은 것은 긍정적인 결과로 볼 수 있다. 지면의 선은 불안과 의존 욕구가 강한 것을 상징하고 용지 하단에 줄을 그으면 우울한 심리 상태를 표현한다. 표면에 상처가 없고 열매와 꽃을 많이 그릴수록 문제를 일으키거나 부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상담심리 > 미술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치료의 의의와 적용 (0) | 2008.02.18 |
---|---|
따뜻함이그리운 아이의 미술치료 (0) | 2008.02.18 |
미술치료 기법-1 (0) | 2008.02.18 |
정신분석학적 미술치료 (0) | 2008.02.18 |
여름성경학교 미술치료 교안 (0) | 2008.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