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chestral Suite No.1 in C major, BWV1066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바흐의 모음곡 (Bach Suite)
바로크 기악곡은 suite혹은 concerto grosso라고도 합니다. 오르간은 교회 음악과 매우 연관성이 깊습니다. 그러나, 바로크 시대에는 다른 기악곡도 있었습니다. 오르간이 아닌 다른 오케스트라 악기와 합시코드를 위한 세속 음악입니다. 이 세속 음악에는 세가지 형식이 있습니다.. suite, sonata, concerto
suite(스위트)라는 말은 여러 가지 요소의 모음을 의미합니다. 바로크 시대에는, suite는 그룹 퍼포먼스를 위해 만들어진 무곡을 가리켰습니다. 이 곡들은 양식화 되었습니다. 귀를 즐겁게 해주기 위한 장식적인 요소가 있었다는 겁니다. 천재 바하는 suite음악을 "매우 즐거운" 음악으로 창조하는 능력이 있었습니다. 작곡가들이 만든 흥겨운 음악들은 자신들을 위해 만들어 진 것이었습니다. 박자나 다른 특성은 여전히 무곡 형식이었습니다. 이 개념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생각하시면 됩니다. 동시대 작곡가들은 기존의 음악을 좀 더 흥미롭게, 멜로디를 바꾸되 원곡의 스타일과 주요 리듬은 그대로 사용했다고 말입니다.
이것이 바하와 다른 바로크 작곡가들이 한 일입니다. 그들은 유행이 지난 다양한 분위기의 무곡을 춤을 위한 것이 아닌 단순히 흥미를 주기 위해 바꿨습니다. 다양한 무곡이 suite에 포함되었습니다. 가장 보편적인 무곡들로는, allemande, courante, sarband와 gigue가 있습니다. Allemande(알르망드: 불어로 '독일의'라는 뜻)는 아마도 독일에서 유래된 음악일 겁니다. 보통 빠르기의 템포와 8분음표나 16분음표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Courante(꾸랑뜨)는 프랑스가 원조입니다. 이 음악은 알르망드보다 조금 느립니다. Saraband(사라방드)는 느린 무곡입니다. 이 음악은 아마도 멕시코에서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유입된 것일 겁니다. Gigue(지그)는 영국이 기원이며, 영국에서는 jig라고 불리워졌습니다. 이 음악은 생동감이 있고, 모음곡에서 마지막을 장식하기에 적합합니다. 다른 무곡에 비해서 대위법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다양한 나라로부터 따온 구성들로 이뤄져 있어서 바로크의 suite는 국제적인 음악 형식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Suite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다른 무곡 형식으로는 bourree(부레), minuet(미뉴에트), gavotte(가보트), loure루르), polonaise(폴로네즈), passepied(파스삐에)가 있습니다. 작곡가는 double를 많이 썼는데, double라는 것은 앞서 나오는 테마가 되는 무곡의 변주곡에 해당합니다. 많은 경우 suite 전에 prelude나 overture가 나옵니다. prelude라는 것은 suite의 전채요리에 해당한다고 보면 됩니다. 이 곡에서는 앞으로 펼쳐질 음악의 전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조성을 제시합니다. 하나의 suite에 있는 무곡들은 같은 조성으로 씌여지는 것이 관습이며, double에서는 원 조성에서 장조나 단조로 변화를 줍니다. 작곡가들은 다양성을 이루기 위해 느린 무곡과 빠른 무곡를 적절히 조합하여 대비 효과를 노리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무곡은 두 부분으로 이뤄지는 형식을 취합니다. 그러면서 이 두 개의 부분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suite는 원래 건반 악기를 위해서 만들어 졌었습니다만, 바로크 후기에 가서는 오케스트라를 위해서 쓰여지기도 하였습니다.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들은 어떤 건반악기를 이용할 것인지 악보에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바하의 Well Tempered Clavier에서 Clavier는 어떤 특수한 피아노를 지칭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저 건반 악기라는 것을 뜻합니다. 그 음악은 원래 clavichord를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harpsichord, 또는 오르간일 수도 있습니다.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바로크 기악곡은 suite혹은 concerto grosso라고도 합니다. 오르간은 교회 음악과 매우 연관성이 깊습니다. 그러나, 바로크 시대에는 다른 기악곡도 있었습니다. 오르간이 아닌 다른 오케스트라 악기와 합시코드를 위한 세속 음악입니다. 이 세속 음악에는 세가지 형식이 있습니다.. suite, sonata, concerto
suite(스위트)라는 말은 여러 가지 요소의 모음을 의미합니다. 바로크 시대에는, suite는 그룹 퍼포먼스를 위해 만들어진 무곡을 가리켰습니다. 이 곡들은 양식화 되었습니다. 귀를 즐겁게 해주기 위한 장식적인 요소가 있었다는 겁니다. 천재 바하는 suite음악을 "매우 즐거운" 음악으로 창조하는 능력이 있었습니다. 작곡가들이 만든 흥겨운 음악들은 자신들을 위해 만들어 진 것이었습니다. 박자나 다른 특성은 여전히 무곡 형식이었습니다. 이 개념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생각하시면 됩니다. 동시대 작곡가들은 기존의 음악을 좀 더 흥미롭게, 멜로디를 바꾸되 원곡의 스타일과 주요 리듬은 그대로 사용했다고 말입니다.
이것이 바하와 다른 바로크 작곡가들이 한 일입니다. 그들은 유행이 지난 다양한 분위기의 무곡을 춤을 위한 것이 아닌 단순히 흥미를 주기 위해 바꿨습니다. 다양한 무곡이 suite에 포함되었습니다. 가장 보편적인 무곡들로는, allemande, courante, sarband와 gigue가 있습니다. Allemande(알르망드: 불어로 '독일의'라는 뜻)는 아마도 독일에서 유래된 음악일 겁니다. 보통 빠르기의 템포와 8분음표나 16분음표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Courante(꾸랑뜨)는 프랑스가 원조입니다. 이 음악은 알르망드보다 조금 느립니다. Saraband(사라방드)는 느린 무곡입니다. 이 음악은 아마도 멕시코에서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유입된 것일 겁니다. Gigue(지그)는 영국이 기원이며, 영국에서는 jig라고 불리워졌습니다. 이 음악은 생동감이 있고, 모음곡에서 마지막을 장식하기에 적합합니다. 다른 무곡에 비해서 대위법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다양한 나라로부터 따온 구성들로 이뤄져 있어서 바로크의 suite는 국제적인 음악 형식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Suite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다른 무곡 형식으로는 bourree(부레), minuet(미뉴에트), gavotte(가보트), loure루르), polonaise(폴로네즈), passepied(파스삐에)가 있습니다. 작곡가는 double를 많이 썼는데, double라는 것은 앞서 나오는 테마가 되는 무곡의 변주곡에 해당합니다. 많은 경우 suite 전에 prelude나 overture가 나옵니다. prelude라는 것은 suite의 전채요리에 해당한다고 보면 됩니다. 이 곡에서는 앞으로 펼쳐질 음악의 전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조성을 제시합니다. 하나의 suite에 있는 무곡들은 같은 조성으로 씌여지는 것이 관습이며, double에서는 원 조성에서 장조나 단조로 변화를 줍니다. 작곡가들은 다양성을 이루기 위해 느린 무곡과 빠른 무곡를 적절히 조합하여 대비 효과를 노리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무곡은 두 부분으로 이뤄지는 형식을 취합니다. 그러면서 이 두 개의 부분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suite는 원래 건반 악기를 위해서 만들어 졌었습니다만, 바로크 후기에 가서는 오케스트라를 위해서 쓰여지기도 하였습니다.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들은 어떤 건반악기를 이용할 것인지 악보에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바하의 Well Tempered Clavier에서 Clavier는 어떤 특수한 피아노를 지칭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저 건반 악기라는 것을 뜻합니다. 그 음악은 원래 clavichord를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harpsichord, 또는 오르간일 수도 있습니다.
'정서공간 > 음악이 있는곳(팝송,클라식,째즈,가요, 동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흐 / 하프시코드협주곡 1번, 라단조 (0) | 2008.02.07 |
---|---|
바흐 / 관현악 모음곡 3번, 라장조 (0) | 2008.02.07 |
바흐 /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가단조 (0) | 2008.02.07 |
바흐 / 무반주 첼로 조곡 제1번, 사장조 (0) | 2008.02.07 |
바흐 / 브란덴부르그협주곡 1번, 바장조 (0) | 2008.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