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탈진을 회복하는 법
In some ways it was a typical breakfast meeting. The waitress was pleasant, the eggs were average, and the restaurant was full of busy people. We shared a cup of black, coffee-like substance, and the first few times my client took a sip he managed to spill quite a bit of it. His trembling hand was just one of the symptoms of his burnout. That’s why we were meeting. He wanted to know if I could help him. ( 어떤 면에서 보면 전형적인 조찬 회의였다. 웨이츄레스는 명랑했고, 달걀은 적당했으며 식당은 바쁜 사람들로 붐볐다. 우리는 커피처럼 생긴 검은색 음료를 같이 마셨고, 내 클라이언트는 그것을 조금씩 기울이면서 처음 몇 번을 홀짝대면서 마셨다. 그가 손을 떠는 것은 그가 심리적으로 탈진했다는 하나의 징후이다. 또한 우리가 만난 이유기도 하고…그는 내가 그를 도울 수 있는지를 알고 싶어했다.)
I picked up a fork and explained that as long as I used it for eating, the fork would last indefinitely. However, if I began to use it to drive nails or dig trenches, it would soon break. The key was to use it for what it was designed to do.
( 나는 포크를 하나 집어 들고 내가 그것을 먹는 데 사용하는 한 포크는 막연히 그 모양을 유지하지만 못을 뽑거나 홈을 파는데 사용한다면 아마 부러져버릴 것이라 설명했다.
내 말의 요지는 어떤 물건을 당초의 용도대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look in his eyes told me he got it, but I still went on to say that people are like the fork. When they do what they are not designed to do, they eventually break. ( 그의 눈은 뭔가 깨달았다는 눈치였다. 그러나 나는 사람들은 포크와 같다며 이야기를 이어갔다. 사람은 그들이 하려고 마음먹지 않은 일을 할 때 마침내 부러지고 만다.)
Sure enough, his MAPP showed that he was designed to work on projects where there was a definite goal. He derived immense satisfaction from reaching goals. He also needed to work by himself about half the time. He was a scientist and enjoyed lab time, doing calculations, and interpreting test results.
( 그의 MAPP ( 개인 잠재력 동기화 평가)을 보니 너무나 분명하게도 그는 목표가 분명히 정의된 일을 잘하는 것을 보여 주었으며, 또한 그 목표를 달성할 때 무한한 만족을 느끼는 것을 보여 주고 있었다. 그는 업무 시간의 반 정도를 혼자 일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는 과학자로서 실험하거나 계산하거나 실험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좋아했다)
What his job required on a day-to-day basis was another story.
His primary task was to supervise a dozen people and maintain operations.
No goals. No projects. No time alone. Consequently, his job was sucking the life out of him.
(그의 일상적인 업무가 요구하는 것은 전혀 별개의 것이었다.
그의 주요 업무는 십여명의 사람을 감독하고 부서를 운영해가는 것이었다.
목표도 없고 프로젝트로 없으며 혼자 있을 수 있는 시간도 없었다. )
Much credit for his recovery goes to his boss who was willing to change the job content to fit the design of a valuable employee. (그의 회복에 대한 신뢰는 직원의 업무 욕구에 맞게끔 업무 내용을 바꿀 용의가 있는 그의 보스에게 달려 있었다)
So how do you know if you, a loved one, or someone who reports to you is suffering from burnout? Here are the early warning signs.
(만약 당신이나 당신의 소중한 사람 혹은 당신의 부하가 심리적인 탈진으로 고통스러워한다면 당신은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여기 몇 가지 조기 증상들이 있다)
1. chronic fatigue - exhaustion, tiredness, a sense of being physically run down
( 만성피로 – 지침,피로,육체적으로 처지는듯한 느낌)
2. anger at those making demands ( 어떤 요구에 대해 화가 남)
3. self-criticism for putting up with the demands
( 그런 요구를 수행하는데 대한 자기 비평)
4. cynicism, negativity, and irritability (냉소주의, 부정적 반응, 예민한 감수성)
5. a sense of being besieged (공격당한다는 느낌)
6. exploding easily at seemingly inconsequential things
( 외견상 이치에 맞지 않는 일에 대해 쉽게 감정이 폭발하는 경향)
7. frequent headaches and gastrointestinal disturbances (잦은 두통과 소화 불량)
8. weight loss or gain (체중의 감소 혹은 증가)
9. sleeplessness and depression (불면과 우울)
10. shortness of breath (호흡이 짧아짐)
11. suspiciousness (의심증)
12. feelings of helplessness ( 도움을 청할 곳이 없다는 느낌)
13. increased degree of risk taking ( 리스크 테이킹 수준의 증가)
Take a close look at what is said about you in your MAPP, and what you are naturally motivated toward with regard to your work. Sometimes a simple change at work can help you avoid many (if not all) of the early warning signs of Burnout.
( 자신의 MAPP 데이타를 면밀히 검토해보고 당신이 당신의 업무를 진행하는데 자연스럽게 동기화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라. 때로는 업무의 단순한 변화만으로도 당신이 심리적으로 탈진하는 많은 초기 증상들로부터 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리더십 > 리더십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리더는 역할이다 (0) | 2006.05.06 |
---|---|
[스크랩] 리더는 역할이다 (0) | 2006.05.06 |
[스크랩] 심리적 탈진을 회복하는 법 (0) | 2006.05.06 |
[스크랩] 영적리더들이 갖추어야 할 영적품성의 목록들 (0) | 2006.05.06 |
[스크랩] 예수님의 지도력 (0) | 2006.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