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이혼율 ‘아시아 1위’
(::98년부터 줄곧 최고…日 훨씬 앞질러::) 급격한 이혼율 증가로 인해 1990년대말 우리나라는 이미 아시아 최고 이혼국이 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한국가정법률상담소가 1990년대 한국과 주변 아시아국가 28 개국의 이혼율 증가추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1991년 이혼율 1.06%에 불과했던 한국은 같은 해 이혼율이 2.91%로 아시아 최고 를 기록했던 카자흐스탄을 따라잡아 1998년부터 아시아 최고 이 혼율을 기록했다.
1998년 카자흐스탄의 이혼율은 2.35%, 한국은 2.51%였고, 1999년 에는 카자흐스탄이 1.71%로 떨어진 반면, 한국은 2.52%로 더욱 증가했다. 이혼율은 인구 1000명에 대한 이혼수의 비율로 산출됐 고, 통계수치는 국제연합(UN) 인구통계연감을 기준으로 했다.
또한 1987년부터 1999년까지 12년간 일본의 이혼율은 1.29%에서 1.98%로 1.5배, 홍콩은 0.90%에소 2.00%로 2.2배 증가한 데 비해 한국은 0.92%에서 2.52%로 2.7배 이상 증가해 주변 국가들 중 이혼율 증가폭 역시 가장 컸다.
1996~1999년의 세계 94개국의 평균이혼율을 산출 결과, 1위는 벨 로루시(4.54%), 2위는 미국(4.29%), 3위는 푸에르토리코(3.74%) 가 각각 차지했다. 한국(2.19%)은 32위, 일본(1.83%)은 38위였고 , 과테말라(0.11%), 리비아(0.25%) 등은 이혼율이 가장 낮은 나 라로 꼽혔다.
한편, 1987년부터 1999년까지의 전국 13개 가정·지방법원별 평 균이혼율은 창원이 2.68%로 가장 높았고 전주 2.55%, 춘천 2.49% , 청주 2.48%, 제주 2.38%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원은 1.63% 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서울 1.71%, 인천 1.72%, 부산 1.74% 순이었다.
가정법률상담소 박소현 상담위원은 “1990년대 우리나라의 이혼 율(2.0%)은 1950년대(0.18%)에 비해 11배나 증가했고 이는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큰 변화라는 것이 비교를 통해 확인됐다”면서 “1990년대 후반의 급격한 이혼율 증가는 사회경 제적 변화에 맞물려 가부장제도의 모순에 대한 저항이 거세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증가일로에 있는 이혼율을 잡기 위해서는 예비부부와 신혼부부에 대한 결혼교육 등 갈등 사전예방 교육과 갈등해결 방 법 교육 등 결혼 전후의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희정기자 nivose@munhwa.com
7일 한국가정법률상담소가 1990년대 한국과 주변 아시아국가 28 개국의 이혼율 증가추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1991년 이혼율 1.06%에 불과했던 한국은 같은 해 이혼율이 2.91%로 아시아 최고 를 기록했던 카자흐스탄을 따라잡아 1998년부터 아시아 최고 이 혼율을 기록했다.
1998년 카자흐스탄의 이혼율은 2.35%, 한국은 2.51%였고, 1999년 에는 카자흐스탄이 1.71%로 떨어진 반면, 한국은 2.52%로 더욱 증가했다. 이혼율은 인구 1000명에 대한 이혼수의 비율로 산출됐 고, 통계수치는 국제연합(UN) 인구통계연감을 기준으로 했다.
또한 1987년부터 1999년까지 12년간 일본의 이혼율은 1.29%에서 1.98%로 1.5배, 홍콩은 0.90%에소 2.00%로 2.2배 증가한 데 비해 한국은 0.92%에서 2.52%로 2.7배 이상 증가해 주변 국가들 중 이혼율 증가폭 역시 가장 컸다.
1996~1999년의 세계 94개국의 평균이혼율을 산출 결과, 1위는 벨 로루시(4.54%), 2위는 미국(4.29%), 3위는 푸에르토리코(3.74%) 가 각각 차지했다. 한국(2.19%)은 32위, 일본(1.83%)은 38위였고 , 과테말라(0.11%), 리비아(0.25%) 등은 이혼율이 가장 낮은 나 라로 꼽혔다.
한편, 1987년부터 1999년까지의 전국 13개 가정·지방법원별 평 균이혼율은 창원이 2.68%로 가장 높았고 전주 2.55%, 춘천 2.49% , 청주 2.48%, 제주 2.38%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원은 1.63% 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서울 1.71%, 인천 1.72%, 부산 1.74% 순이었다.
가정법률상담소 박소현 상담위원은 “1990년대 우리나라의 이혼 율(2.0%)은 1950년대(0.18%)에 비해 11배나 증가했고 이는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큰 변화라는 것이 비교를 통해 확인됐다”면서 “1990년대 후반의 급격한 이혼율 증가는 사회경 제적 변화에 맞물려 가부장제도의 모순에 대한 저항이 거세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증가일로에 있는 이혼율을 잡기 위해서는 예비부부와 신혼부부에 대한 결혼교육 등 갈등 사전예방 교육과 갈등해결 방 법 교육 등 결혼 전후의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희정기자 nivose@munhwa.com
출처 : 가정사역 이야기
글쓴이 : 정직 원글보기
메모 :
'가정사역 > 가정사역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체성이 없는 아버지의 역기능 (0) | 2006.05.06 |
---|---|
[스크랩] 가정사역의 배경 (0) | 2006.05.06 |
[스크랩] 행복한 가정의 7가지 열쇠 -양은순 명지대학교 교수- (0) | 2006.05.06 |
[스크랩] 가정사역은 교회의 과제다 [목회와 신학] (0) | 2006.05.06 |
[스크랩] 지구촌가정훈련원-부부행복학교 (0) | 2006.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