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가 비유한 저항과 억압
1909년 9월 메사추세츠,워체스터, 클라크 대학교 개교 이십 주년
기념
강연회에서 프로이트가 강연한 내용의 일부인데요 ^^
억압과 저항등에 관해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든 것이 있어서
올립니다~
"저는 이제 수많은 사례들중 한 사람의 경우를 설명드리려고 하는
데, 이 사례는 억압의 결정 요인들과 장점들이 충분히 명백하게
드러나는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이 사례 역시 그 전말을 간략화
하고,기저에 깔린 중요한 소재들 중 일부는 생략해야 할
것입니다.
그 환자는 소녀였습니다. 그녀는 사랑하는 아버지를
잃었습니다.
그녀가 그를 간호하는데 정성을 쏟았는데도 말입니다.
이것은
브로이에르 환자의 경우와 유사한
상황이었습니다.
그 일이 있고 난 직후에 그녀의 언니가 결혼을 했고 그녀의
형부
는 가족이라는 미명 아래 가식적이지만 특별한 동정심을
그녀에게
보여주었습니다. 얼마 되지 않아 그녀의 언니가 병에
걸려 죽었
는데, 당시에 그 소녀와 어머니는
부재중이었습니다. 그들은 그
비극적인 사건에 대해 아무런
구체적인 사정도 알지 못한채 황급히
돌아왔습니다.그 소녀가 죽은
언니의 침대 맡에 다가갔을 때 잠시
동안 어떤 생각이 떠올랐던 것입니다.
우리가 확실히 추정할 수
있는 것은 그녀가 의식해 본 적이 없는 형부에 대한 강렬한
사랑을
그녀의 의식 표면으로 무심코 드러내어 준 이 생각이,
그녀의 감정
의 반항 덕분에 잠시 후에 억압되었다는
사실입니다.
그 소녀는 격심한 히스테리에 빠졌고, 그녀가 저의
치료를 받는
동안 언니의 침대 맡에서의 그 장면과 그녀의 내면에 나타났던
불
쾌한 이기적 충동을 그녀가 완전히 잊고 있었다는 사실이
판명되
었습니다.그녀는 치료 과정에서 그것을 기억해냈고 그
병인적인
순간을 가장 격렬한 감정 표현으로 재생해냈습니다.
그와 같은 치료
과정을 거쳐 그녀는 다시 한 번
건강해졌습니다.
그럼, 지금 이자리의 실제 상황으로부터 거칠게나마
하나의 비유
를 끌어내서, 억압과 그에 대한 저항 사이의 필수적인
상관관계에
관한 보다 생생한 그림을 그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강연장 안의
청중들 가운데, 대다수의 분들은 모범적으로 조용하게
경청하시기
때문에 제가 어떻게 사의를 표해야 할지 모를 정도이지만,
그럼에
도 소란스럽게 구는 사람이 있고 비웃는 사람도 있으며
잡담하고
발장난하여 제 주의를 흩어 놓는 사람도 있습니다.
저는 강연을
더 이상 진행할 수 없어서,
여러분들 중 힘센 분 서넛에게 약간의
실랑이를 벌이더라도 그 방해꾼들을
문 밖으로 밀어내라고 부탁합
니다. 자 이제
그들은 '억압' 받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강의를 계속
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쫓겨난 사람들이 다시 들어오려고
할 경우에 대비해서, 제 부탁을 받았던 그 신사분들은 그런 방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의자로 문을 가로막아서 그 억압이 성취된 후의
'저항'을 세웁니다. 만일 여러분이 관련된 그 두 장소를
심리적인
용어로 '의식적인 곳'과 '무의식적인 곳'으로
바꿔 본다면, 여러분
은 억압의 과정에 대한 꽤 좋은
그림을 그린 셈입니다.... .....
...............중략...............
그리고
우리는 이제 억압 이론의 관점으로부터 이 발견들을 고려하
는 일을 놓쳐서는 안
됩니다. 처음 보기에는 억압으로부터 증상의
형성에
이르는 길을 추적하는 것이 실제로 불가능한 것처럼 보입
니다. 복잡한 이론적인 설명을 하는 대신 저는 여기서 제가 아까
억압을
설명할때 들었던 비유를 다시 활용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은
잠시만
생각해 보면 방해자를 추방하고 문지기를 두는 것이 그 이야
기의 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비참하게 쫓겨나 이제는 앞뒤 안 가리게 된 그 사람은 우리에게
더
큰 말썽거리가 되기 십상입니다. 그가 더 이상 우리
가운데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고 우리는 그의 존재로부터 그의 모욕적인
웃음
으로부터, 그리고 그의 거북한 중얼거림으로부터
자유롭습니다.
그럼에도 어떤 점에서는 그 억압이 성공적이지 못했습니다.
왜냐
하면 그가 이제는 문 밖에서 자신을 참을 수 없을 정도로
과시하고
있으며 고함지르고 주먹으로 문을 두드림으로써 문 안에 있을때
보
다 훨씬 더 제 강연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존경하는 총장 스텐리 홀 박사께서 중재자와 화해자의 역할을
자청
한다면 우리는 기꺼이 그렇게 할 것입니다. 그는 밖에
나가 제멋
대로인 그 사람과 대화를 나누고 난 다음에 우리에게 와서,
그 사
람이 이제는 잘 처신하리라는 것을 홀 박사 자신이 보장할 테니
그
를 다시 입장시키자고 부탁할 것입니다. 홀 박사의
권위에 의지하
여 우리는 억압을 풀기로 결정하고, 평화와 정숙이
회복됩니다.
이것은 노이로제에 대한 정신분석 치료에 임하는 의사의
역할에
관한 실제로 그리 나쁘지 않은 그림입니다."
'상담심리 > 상담심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정신분석 강의 (0) | 2006.04.29 |
---|---|
프로이드와 융의 다른점 (0) | 2006.04.29 |
지그문트프로이드 (0) | 2006.04.29 |
[스크랩] 브루스 핑크의 <라캉과 정신의학> 1장(31쪽까지)의 번역수정을 마쳤습니다 (0) | 2006.04.29 |
[스크랩] 카타르시스 (0) | 2006.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