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질병의 유전 유전자. |
1번 유전자 |
전립선암,녹내장,치매 |
13번 유전자 |
유방암,망막모 세포증 |
2번 유전자 |
파킨슨씨병,대장암 |
14번 유전자 |
치매 |
2번 유전자 |
폐암 |
15번 유전자 |
마판증후군 |
4번 유전자 |
헌팅턴병 |
16번 유전자 |
크론씨병 |
5번 유전자 |
탈모증,여드름 |
17번 유전자 |
유방암 |
6번 유전자 |
당뇨병,간질 |
18번 유전자 |
췌장암 |
7번 유전자 |
비만 |
19번 유전자 |
동맥경화증 |
8번 유전자 |
조로증 |
20번 유전자 |
면역결핍증 |
9번 유전자 |
백혈병,피부암 |
21번 유전자 |
근위축증,다운증후군,간질,치매,백혈병 |
10번 유전자 |
망막위축증 |
22번 유전자 |
백혈병 |
11번 유전자 |
심장마비 |
X 유전자 |
색맹,근이영양증 |
12번 유전자 |
페닐케톤뇨증 |
Y 유전자 |
불임 |
현재 약 8천여개의 질병 유전자가 밝혀진상태이다.
- 각종 유전자의 결함에 따른 질병 -
|
< GBA > 이 유전자가 망가지면 사진처럼 글루코세레브로시드(Glucocerebroside)라는 물질이 조직에 쌓여 정신발육 지연과 마비등을 일으키는 고우서(Gaucher)병에 걸린다. |
|
< AD4 > 이 유전자의 이상은 알츠하이머(Alzheimer)병을 일으킨다. 사진에서 보듯이 알츠하이머 병에 걸린 뇌는 건강한 사람의 뇌에 비해 변성과 위축이 일어나 정신기능을 망가뜨려 백치상태로 만든다 |
|
< MSH2 > 일부 가족 유전성 대장암에서는 이 유전자의 이상이 발견되느데 정상세포에서 이 유전자의 단백질산물은 DNA상에 생긴 돌연변이를 복구하는데 관여하고 있다. |
|
< PAX3 > 이 유전자의 이상은 난청과 적색소증을 일으키는 바덴버그(Wadenburg) 증후군을 일으킨다. |
|
< SCLC1 > 이 암억제 유전자가 손상을 받아 없어지면 특정한 종류의 폐암을 일으킨다 |
|
< VLH1 > |
|
< HD > 이 유전자의 이상은 헌팅천(Huntington)병을 일으키는데, 사진에서는 뇌실이 확장되고 미상핵이 위축된 환자의 뇌를 보여주고 있다. |
|
< EVC > 이 유전자의 이상은 발육부진을 일으키는 엘리스-반 클레벨드 증후군(Ellis-van Creveld syndrome. 육손난장이 증후군)이 나타난다. |
|
< SRD5A1 > 사람의 스테로이드 5-알파 환원효소와 유사한 유전자가 식물에서도 발견돼 이를 이용해 새로운 약을 개발할 수 있게 됐다 |
|
< DTD > 우리 몸에서 황산염 수송을 맡고 있는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발육부진을 일으킨다. |
|
< SCA1 > 이 유전자의 이상은 소뇌를 변형시켜 운동장애를 일으키는 질병에 걸리게 된다. |
|
< DDM1 > 이 주 조직적합 항원군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자신의 T 임파구가 자기 췌장의 인슐린 분비세포를 공격해 소아형 당뇨병을 생기게 한다. |
|
< CFTR > 기도내벽의 상피세포에서 염소(Cl)음이온 통로 역할을 한다. 이 유전자의 결함은 호흡기의 점액의 조성을 변화시켜 감염에 걸리게 하는 낭포성 섬유증을 유발한다. |
|
< OBS > 이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쥐는비만증에 걸린다. 사람의 비만을 연구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
|
< WRN > 베르너(Werner)증후군. 이 유전자의 이상은 어린 나이에 갑자기 늙는 조로증이 생긴다. 이 유전자는 DNA를 푸는데 관여하는 효소 이상이 조로증을 일으키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
|
< MYC > 이 유전자를 포함하는 염색체 절편이 다른 특정염색체에 가서 붙는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특정한 림프종이 생기게 된다. |
|
< CDKN2 > 세포주기 조절에 관여하는 이 항암유전자의 이상은 악성흑색종양이라는 무서운암을 일으킨다. |
|
< TSC1 > 이 유전자의 이상은 맥관근 지방종이라는 양성종양을 일으킨다 |
|
< MEN2A > 이 유전자의 이상은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등의 내분비기관에 다발적으로 종양을 만든다. |
|
< OAT > 이 유전자의 이상은 눈의 망막과 맥락막에 위축을 가져온다. |
|
< HRAS Ras > 암유전자가 만든 단백질의 3차구조 한국의 김성호 박사가 밝혔다. |
|
< LQT1 > 유전성으로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장 QT 증후군은 이온통로 단백질의 돌연변이로 생긴다. |
|
< PXRl > 이 유전자의 이상은 젤버거(Zellwerger)증후군을 일으키며 정상유전자를 이식해 교정할 수 있다. |
|
< PAH > 이 유전자의 이상은 페닐케톤뇨증 (Phenylketonuria)을 유발한다. 식이요법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해마다 수백만명의 신생아가 이 유전자의 이상 유무를 검사받고 있다. |
|
< BRCA >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체는 유방암과의 발생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졌다. |
|
< RB1 > 이 유전자의 결실로 소아의 망막에 종양이 생긴다. |
|
< AD3 > 이상시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유전자. |
|
< FBN1 > 마르팡(Marfan)증후군에서 이 유전자의 이상으로 결체조직이상을 초래해 골격, 눈 및 순환계의 기형을 초래한다. |
|
< PKD1 > 이상시 신장에 여러 낭포를 만들어 신장기능을 망가뜨림으로써 신부전이나 고혈압으로 사망에 이르게 한다. |
|
< TP53 > p53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인체암 중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유전자 이상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노란 점은 이 유전자의 이상으로 생기는 암 부위들이다. |
|
< BRCA1 > 이 유전자의 여러 돌연변이는 유방암과 난소암을 일으키는데 관여한다. |
|
< DPC4 > 이 유전자의 결실은 췌장암의 악성도에 관여해 주변조직을 침범하게 만든다. |
|
< APOE > 저밀도 리포단백질 수용체에 붙는 아포리포단백질 E유전자의 이상은 심장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를 일으켜 심장발작에 이르게 한다. |
|
< DM > 이 유전자 구조중 세 뉴클레오타이드가 반복돼 있는 구조가 자손에 유전될 때 불안정하게 증폭되면 근긴장성 위축증이 발생한다. |
|
< ADA > 이 유전자의 이상으로 중증 면역결핍증이 유발된다. 정상유전자로 유전자 치료가 가능하다. |
|
< SOD1 > 루게릭(Lou Gehrig, 근위축성측색경호증)병이라는 유전병의 일부가 이 효소유전자의 이상으로 생긴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를 일으켜 심장발작에 이르게 한다. |
|
< DGS/VCFS > 22번 염색체 상에 있는 이 유전자의 결실은 흉선이 형성되지 않아 면역장애가 일어나는 흉선무형성증을 일으킨다. |
|
< NF2 > 신경섬유종증은 이 항암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생긴다. |
|
< ATP7A > 이 유전자의 이상으로 조직내 구리가 증가되 중추 신경계의 퇴행성 이상을 보이는 멘케스(menkes)병이 걸린다. |
|
< DMD >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디스트로핀(Destrophin)단백질 장애를 초래해 진행상으로 근육이 변성된다. 결국 사망에 이르는 두센(Duchenne)근위축증을 일으킨다. |
|
< TDF > 수정란에서 발생할 때, 이 유전자는 여러 유전자와 협력해 성을 결정한다 |
'치유 > 내적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치유-질병원인/자료]질병의 의미와 원인에 관한 연구 (0) | 2006.11.20 |
---|---|
[스크랩] [치유-통로/자료]질병의 통로 (0) | 2006.11.20 |
하나님의 자녀된 축복을 누리기 원하며 (0) | 2006.11.20 |
서로 사랑하라 (0) | 2006.11.20 |
내적치유와 십자가 (0) | 2006.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