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스크랩] 부정(否定) / 프로이트

힐링&바이블센터 2006. 4. 29. 14:18



..
환자들이 분석 치료를 받는 동안 연상한 것을 이야기하는 태도는 우리들

에게 몇가지 흥미로운 관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자,당신

은 내가 남을 모욕하는 어떤 말을 할 거라고 생각할 겁니다.그러나 실은

나는 그러한 의도가 전혀 없습니다.>우리는 이것이 투사에 의해 방금 올

라온 생각을 부인하는 행위라는 것을 깨닫는다.혹은,<당신은 꿈속에서 등

장하는 이 사람이 누구냐고 물으십니다.그 사람은 나의 어머니가 <<아닙

니다>>.>해석할 때 우리는 자유롭게 부정을 무시하고 연상의 주제만을 끄

집어 낸다.그 환자는 내심 다음과 같이 말했을 것이다.<내가 이사람을 생

각하고 있을 때 나의 어머니가 내 마음속에 또올랐다는 것은 사실이다.그

러나 나는 그 연상을 중요한 것으로 만들고 싶지 않다.>


무의식 상태의 억압된 자료에 대해서 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이따금씩 얻

을 수 있는 매우 편리한 방법이 있다.이렇게 질문하는 것이다.<그 상황에

서 가장 상상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만약 환자가 이 덫

에 걸려서 자기가 가장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바를 말해 준다면,그는

거의 언제나 진심을 고백한다.이러한 실험에 대응하는 멋진 사례가 이미

증상의 의미를 읽을 수 있게 된 강박신경증 환자에서 자주 발견된다.그

는 이렇게 말한다.<나는 강박적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그리고 의미가 이

러이러하다고 볼 수 있는 생각이 즉시 나에게 떠올랐을 리가 없습니다.>

치료를 통해 얻은 것을 근거로 그가 지금 거절하고 있는 것은,물론 강박

적 생각의 정확한 의미이다.


이와 같이 억압된 이미지나 생각의 내용은 그것이 <부정>된다는 조건으

로 의식 속에 떠오를 수 있다.부정은 억압된 것을 인정하는 방식이다.사

실 억압됐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는 것은 이미 억압을 푸는 것이다.물론 억

압된 것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는 아니지만.우리는 여기서 지적 기능이 어

떻게 감정적 과정과 분리되어 있는가를 볼 수 있다.부정의 도움으로 억

압 과정의 한 가지 결과---즉,억압된 것의 관념내용은 의식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사실---만이 자유를 얻는다.이 결과로 억압된 것에 대한 일종

의 지적 수용이 이루어진다.그러나 그와 동시에 억압의 본질은 그대로 지

속된다.
..............................................
............................

자랑하는 것이 위험스럽다는 흔한 미신의 뿌리에서 이와 같은 과정이 일

어난다.<그처럼 오랫동안 내가 두통을 앓지 않았으니 얼마나 좋은 일인가

>그러나 이것은 사실상 두통에 대한 첫번째 선언인 셈이다.당사자는 그

두통의 엄습을 믿고 싶지 않지만 그것을 이미 감지하고 있는 것이다...







....프로이트전집에서.....

출처 : 정신분석학&프로이트&심리학
글쓴이 : Natur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