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도>는 성욕의 역동적인 표현을 기술하기 위해 본능의 이론에서 사용
되는 용어이다.그것은 이미 몰에 의해 이러한 의미로 사용되었고 필자(프
로이트)에 의해 정신분석학에 도입되었다.이하에서는 본능의 이론이 정신
분석학 내에서 거쳐 왔던 발전들-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발전들-을 기술하
는 것으로 제한된다.
--성본능과 자아 본능간의 비교--
정신분석학은 일찍이 모든 정신적인 사건들은 요소적인 본능들이 가진 힘
의 상호 작용에 기초해서 형성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
하게 되었다.그러나 그 사실 때문에 정신분석학은 곧 곤경에 빠졌다.왜냐
하면 심리학은 본능에 관한 아무런 이론도 포함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
다.아무도 실제로 본능이 어떤 것인지 말할 수가 없었고,문제는 전적으
로 개인적인 변덕에 맡겨져 있었으며,모든 심리학자는 자신이 선택한 많
은 수의 본능들을 임의적인 것으로 가정하는 경향이 있었다.정신분석학으
로 연구해야 할 현상들 중 첫번째 영역은 이른바 전이신경증(히스테리와
강박증)이었다.그것의 증후는 주체의 인격(그의 자아)에 의해 거부(억압)
되어 무의식을 통한 우회적인 통로에 의해서 표현되는 성욕의 본능적 충
동에 의해 야기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이런한 사실들은 성본능과 자아
본능(자기 보존의 본능)사이를 비교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었다.그리고 이
것은 배고픔과 사랑이 세계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라는 유명한 말과도 일
치하였다.배고픔이 자기 보존본능의 표현인 것처럼 리비도는 사랑의 힘
의 표현이었다.자아본능의 본성은 당분간 자아에 관한 다른 모든 특징들
처럼 규정되지 않은 채, 분석이 접근할 수 없는 것으로 남아 있었다.두
부류의 본능사이에 질적인 차이가 존재한다고 생각돌 수 있는지,그리고
있다면 어떤 차이인지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출처 : 정신분석학&프로이트&심리학
글쓴이 : Nature 원글보기
메모 :
'상담심리 > 상담심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정(否定) / 프로이트 (0) | 2006.04.29 |
---|---|
[스크랩] 환자들의 강박적인 행동과 종교인들의 과민한 집착과 종교의식의 유사성 / 프로이트 (0) | 2006.04.29 |
[스크랩] 오이디푸스왕 / 소포클레스 (0) | 2006.04.29 |
[스크랩] 증상행위 / 프로이트 (0) | 2006.04.29 |
[스크랩] 꿈의해석 제2판 서문 / 프로이트 (0) | 2006.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