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미술치료

정신분열증 환자 미술치료

힐링&바이블센터 2008. 2. 18. 23:23

정신분열증 환자 그림의 특성푸른평화예술치료연구소 강의노트자료 최현진(연구원, 하양언어치료실) 미술치료에서 관심을 가지는 그림의 두 가지 측면은 그림에 표현되는 내용과양식이다.

내용은 환자의 의식적, 전의식적, 무의식적 세계를 반영하는 것으로상징적 해석이 가능하다.

상징의 해석은 일반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환자의 자유연상 및 자기해석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양식은 선, 색채, 공간,질감, 리듬 등의 형태적 요소들이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가 하는 것으로 개인의 행동,인격의 유형, 감정, 정신역동을 반영한다.정신병 환자의 그림에 대한 의학적인 관심은 1872 년 프랑스의 법의학자Tardieu(1818-1879)가 정신병 환자의 그림을 관찰하여 소개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1876 년 Simon 은 정신병 환자의 그림과 어린이의 그림과 원시인의 그림이 가지는 유사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 후 1922 년, Prinzhorn 은 주로 정신분열증 환자들의그림 5000 점을 모아서 체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정신분열증 환자 그림에 나타나는명백한 경향성을 보고했다(Prinzhorn, 1994).

Navratil 은 그림에 나타나는정신분열증의 지표로서 다양한 양식적 요소들과 상징적 요소들을 보고하면서,이러한 요소들은 건강한 예술가들의 그림에서도 볼 수 있으나, 정신분열증의 경우활성기와 함께 지배적으로 나타났다가 증상의 소멸과 함께사라진다고했다(Navratil, 1966).

(1) Prinzhorn 이 보고한 정신분열증 환자 그림에 나타나는 경향성- 장난의 경향성:

그림의 전체적인 조화나 그리는 대상과 관계없이 수행하고자 하는충동에 의해 낙서하듯이 그린다.

- 장식의 경향성: 환경을 풍성하게 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장식적인 요소나 무늬를그리는 경향이 있다.

- 모사의 경향성: 다른 사람의 그림이나 주위에서 볼 수 있는 그림을 그대로 따라 그리는 경향이 있다. - 질서의 경향성: 그림의 전체 또는 부분에서 대칭, 리듬, 규칙이 나타난다.

- 전달의 욕구: 인식되고자 하는 욕구 또는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자하는 노력을 반영하는 현상으로 그림에 대한 설명, 소제목, 단어 등을 적어 넣는경향이 있다.

- 상징의 경향성: 그림에 상징적인 요소들이 자주 출현하거나 그림 전체가 하나의상징이 되기도 한다. Freud 는 어떤 꿈의 요소와 그 해석 사이의 확고한 관계를 상징이라 하였고, Jung 은 어떤 개념이나 그림이 그 자체보다 더 많은 것을

--------------------------------------------------------------------------------

Page 2

의미하면 그것은 상징이라고 하였다.

Riedel(1991) 또한 어떤 그림이 그려진 대상 자체보다 더 많은 의미를 내포하면 그 그림은 상징이라고 하였다.

그림에 나타나는상징은 환자 개인의 정신분열증을 이해하는데 어떤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Navratil 이 정신분열증의 지표로서 보고한 그림의 양식적 요소와 상징적 요소

① 양식적 요소- 경계와 윤곽: 경계와 윤곽을 무시하거나 강조한다.

윤곽이 무시되거나 상실될 때는세부묘사가 화지 전체에 범람하거나 사물과 바탕을 구분하지 않고 채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흰 화지에 흰색으로 채색하는 것도 여기에 해당된다.

윤곽의 강조는세부묘사 없이 외곽선만 그리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특히 회복기에 윤곽을여러 겹으로 그리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열려있는 형태를 폐쇄된 형태로그리는 경향도 여기에 해당된다.

 

- 혼합된 프로필(profile): 사람의 두상을 측면과 정면이 혼합되게 그리는 것이 흔하다.

그래서 눈의 수가 한 개에서 네 개로 다양하다.

코, 입, 턱, 귀를 생략하거나 두 배로 많이 그리기도 한다.

또한 집, 나무, 구름 등에 얼굴을 그려넣음으로써 사물을 의인화하는 경향도 있다.

 

- 기하학적 형태: 생명체나 무생명체의 사물을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 등의 기하학적 형태로 단순화하여 그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치료 후에 자주 관찰된다.

Navratil 은 이러한 현상을 정신분열증 환자의 회복을 위한노력으로 보았다.

기하학적 형태로의 단순화는 외부의 혼돈 및 내부의 혼돈을억제하려는 시도가 표현된 것일 수 있다.

 

- 기형화: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에는 엄격한 형식주의와 형태의 파괴가 공존한다.

활성기에는 그림에 심한 기형화가 지배적이다.

기형화는 정서적 흥분을 시사한다.

정서적 흥분의 영향으로 지각이 왜곡될 수 있어 크기관계의 왜곡, 신체부위의 회전,절단, 토막화, 부적절한 위치의 팔, 다리 등이 그림에 나타난다.

 

- 화지의 경계: 화지의 경계에 대한 무시와 지나친 의식이 공존한다.

경계의 지나친의식은 경계를 스스로 부여하여 그림을 화지의 한쪽 면이나 한쪽 구석에만 그리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화지의 경계에 대한 무시는 화지 밖에까지 연결해서 그리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 때 그림이 화지의 경계면에서 절단된다.

 

- 움직임: 그려진 인물상들은 과장된 움직임이나 굳어 있는 부동자세의 극단적인모습을 보여준다.

움직임이 현저하게 없는 인물상은 얼굴표정을 통해 내면의 강한 긴장과 감정의 움직임을 드러낸다.

과장된 움직임을 보여주는 인물상은꼭두각시처럼 보인다.

또한 흔히 인물상은 바닥과 연결되지 않고 떠 있는 느낌을

--------------------------------------------------------------------------------

Page 3

준다.

Navratil 은 이 떠 있는 느낌을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세상에 대한 느낌, 삶에 대한 느낌, 위험 속에 떠다니는 느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 투시화와 공간성의 상실: 투시화는 공간성의 상실 또는 왜곡에 기인한 것으로,내외 현실간의 경계 혼란이나 자아경계의 붕괴를 반영한다.

Bemporad(1967)에 의하면 공간성의 상실과 왜곡은 원시적인 부분지각으로 전체를 왜곡하는 것이거나, 전체 지각을 재조정하려는 과정에서 생기는 왜곡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옷을안이 매우 많이 비치도록 표현하거나, 인체의 내부 기관들이 보이는 것처럼 그린다.

대상물과 배경이 투시되도록 겹쳐 그리는 경향, 원근감의 결여, 바라보는 시점이나위치가 뒤섞이는 것, 나무나 사람을 막대기형으로 표현하는 것도 여기에 해당된다.

 

② 상징적 요소- 수수께끼: 수수께끼적인 기호가 그림 중에 나타나거나 그림 전체가 하나의수수께끼가 된다.

Navratil 은 수수께끼와 ‘방법이 없음’을 같은 의미로 취급하여,수수께끼에 끌리는 사람은 원시적인 혼돈과 합리적인 질서 사이의 과도적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았다.

 

- 숫자: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그림에 숫자를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의미도없이 사용할 때도 많다.

숫자는 수수께끼적인 의미와 마술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지니고 있는 반면, 합리적이고 수치적인 일상생활이나 병원생활의 표상이기도 하다.

 

- 나선형과 미로: 나선형과 미로 형태는 정신분열증 환자 그림에서 흔히 나타나는형태이다.

이것의 상징적인 의미는 벗어날 길 없는 극심한 절망감, 지금까지의 혼란스러운 인생여정, 또 그러한 인생여정에서 질서를 찾으려는 시도이다.

 

- 눈: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눈을 지나치게 세밀하게 그리거나 대충 그리거나 생략하는 경향이 있다.

편집증이 있는 환자는 눈을 위협적으로 그린다.

 

- 해부학적 요소: 해골, 뼈, 내장기관이 그림에 나타난다.

이는 죽음에 대한 공포를의미하거나 이러한 공포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의미한다.

 

- 가면: 가면은 기하학적 요소나 기형화된 요소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사실은 가면이 그림에 등장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가면은 보호를 위한보조도구이다.

가면은 변하지 않고, 지속적인 것으로 자신을 숨기고, 다른 사람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3) 기타 정신분열증 지표- 화면의 이용도: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은 화면 이용도가 적어서 공백 지면이 많고완성도 및 세부묘사가 떨어진다(노명래, 1998).

이는 새로운 경험에 대한 흥미가적고, 내면 지향적이거나 너무 관념적인 것을 반영한다(Billig, 1971).

--------------------------------------------------------------------------------

Page 4

- 색: 색은 6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정상이라 할 수 있다(노명래, 1998).

정신분열증 환자는 단색을 사용하거나 사용하는 색의 수가 적은 경향이 있다.

또한혼합이나 덧칠이 심하고, 대상물에 맞지 않는 색을 사용하여 색채에 현실감이결여되는 경향이 있다.

 

- 세부묘사: 세부묘사의 생략이나 과장은 환자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어떤부분에 대한 지각이 둔화 또는 미세해지기 때문이다(Bemporad, 1967).

세부묘사의지나친 과장이나 부조화는 정신분열증 환자의 그림에 나타나는 특성이다(Arieti,1974).

 

- 상동증: 같은 형태가 3 개 이상 나란히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기정희(1982),Kris(1952) 등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회화특징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는정신분열증적 붕괴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무질서 속의 질서를 찾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참고문헌 기정희 (1982). 정신분열증 환자의 풍경화에 나타나는 특징.

신경정신의학, 21, 553-561. 노명래 (1998). 정신분열증 환자의 회화요법 및 회화상 특징. 미술치료연구, 5(2), 377-394. Arieti, S. (1974).Creative Activities of Schizophrenic Patients. Interpretation ofSchizophrenia(2nd ed.).New York: Basic Books. Bemporad, J. R. (1967). Perceptual disorders in schizophrenia. American Journal ofPsychiatry, 123,971-975. Billig, O. (1971). Is Schizophrenic expression!! art?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s, 153,149-164 Kris, E. (1952). Psychoanalytic Exp orations in Art.New York: Univ. Press. lNavratil, L. (1966). Kunst und Schizophrenie - ein Beitrag zur Psychologie desGestaltens. Munchen: dtv. Prinzhorn, H. (1994).Bildnerei der Geisteskranken(4th ed.). Wien, New York: Springer. Riedel, I. (1991). Bilder in Therapie, Kunst und Religion. Wege zur Interpretation(2nd ed). Stuttgart: Kreuz.

'상담심리 > 미술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테라피  (0) 2008.02.18
문제해결 미술 치료  (0) 2008.02.18
그림은 마음을 표현하는언어  (0) 2008.02.18
아이 그림과 미술 치료-나무 그림  (0) 2008.02.18
그림심리치료  (0) 2008.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