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공간/음악이 있는곳(팝송,클라식,째즈,가요, 동요...)

푸치니 / 오페라 "나비부인"

힐링&바이블센터 2008. 2. 7. 00:18
Opera "Madam Butterfly"

Giacomo Puccini [1858∼1924]




1887년경의 일본 나가사키 항구를 내려다보이는 언덕집을 무대로 하고, 미국의 해군장교 핑커톤과 나비부인의 결혼부터 그녀의 비극적인 자살까지를 엮은 오페라 "나비부인" 은 푸치니의 중기 대표작이다. 그리하여 "라보엠" 과 "토스카" 와 더불어 푸치니의 3대 오페라로서 전세계 각국 오페라 극장의 레파토리를 장식하고 있다.

대체로 오페라사에 많은 작품들이 나와 있지만, 동양을 무대로 하고 동양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예는 극히 드문데, 그 희귀한 예 가운데서 푸치니의 오페라에서만 이 "나비부인" 과 "투란도트"가 동양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것은 무척이나 흥미롭다. 특히 원자폭탄 투하로씨 유명한 나가사키를 무대로 하고 미국 해군장교과 일본여성이 결혼한다는 이 아이러니칼한 인연은 어찌 보면 숙명적인것 같기도 하다.

나가사키 항은 우리나라로 치면 부산쯤 해당하는 곳으로, 일본이 개국의 문호를 열었을 때 외국문물을 가장 먼저 받아들인 곳이다. 일본에 기독교가 가장 먼저 발붙인 곳도 이 나가사키였다. 그러므로 일본의 개국시대 사건이 이 나가사키를 무대로 하고 있는 것은 극히 당연하다 하겠다.


Un Bel Di Vedremo, 어떤 개인 날
Sop. Renata Tebaldi


사랑의 이중창


어떤 갠 날, Un bel di


허밍코러스, Humming chorus



등장인물
나비부인 - 술집여자, 핑커톤과 결혼 (S)
핑커톤 - 미국 동양함대 해군 중위, 나비부인과 결혼 (T)
스즈키 - 나비부인의 하녀 (Ms)
샤플리스 - 미국 영사(Br)
고로 - 중매장이 (T)
본조 - 승려, 나비부인의 큰아버지 (Br)
야마도리 공작 - 부호 (T 또는 Br)
케이트 핑커톤 - 핑커톤의 미국인 부인 (Ms)
야쿠시데(Bs), 신관(Bs)
그 밖에 나비부인의 아들, 친척들, 친구들, 하인 등 다수

줄거리

서곡은 없고, 다만 짧은 서주가 있을 뿐이다. 동양적인 주제를 바탕으로 한 푸가 스타일의 음악인데, 이 선율은 극중에서 여러차례 효과적으로 쓰이고 있다. 막이 오르기 전부터 동양적인 느낌이 든다.

제1막 나가사끼 언덕 위의 집
미국 해군중위 핑커톤은 결혼중매인 고로의 소개로 아름다운 일본 아가씨, 나비부인을 만나 사랑하게 된다. 그녀는 아버지가 죽어 기울어진 집안을 위해 게이샤가 된 15살의 꽃다운 아가씨. 나비부인은 친척들의 비난을 무릅쓰고 개종까지 하며 새로운 삶의 희망에 부풀어 핑커톤과 결혼을 한다. 결혼이 시작될 무렵 승려인 숙부의 소동으로 친척들이 다 돌아간 뒤 저녁노을 속에서 핑커톤과 나비부인은 사랑의 2중창을 부른다.

제2막 1장 나비부인의 집 안
그러나, 핑커톤에게는 그녀와의 사랑이 일시적인 불장난에 불과하였고 이를 경고하는 영사의 충고를 무시하고 귀국하여 미국인 케이트와 다시 결혼한다. 3년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는 그를 손꼽아 기다리며 절개를 지키던 나비부인은 드디어 핑커톤의 배가 입항한 사실을 알게 된다. 나비부인은 사랑의 승리라고 기뻐하며 밤새워 그의 방을 꽃으로 장식하며 그가 오기를 기다린다.

제2막 2장 나비부인의 집
나비부인과의 만남을 피하던 핑커톤은 나비부인이 아들을 낳았다는 말을 듣고 결국 케이트와 샤플레스와 함께 찾아온다. 순수한 나비부인의 사랑을 알게 된 핑커톤은 이별을 고하는 아리아를 부르며 괴로워한다.

나비부인은 케이트가 아이를 키우고자 한다는 말을 전해 듣고 모든 것을 단념하고 아버지가 물려준 단도에 새겨진 “명예로운 삶을 못 살 때에는 명예로운 죽음을 택하겠다.” 는 문구를 읽으며 자결한다. 이를 발견한 핑커톤은 나비부인을 외치며 죽어가는 나비부인 옆에 무릎을 꿇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