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공간/음악이 있는곳(팝송,클라식,째즈,가요, 동요...)

푸치니 / 오페라 "라 보엠"

힐링&바이블센터 2008. 2. 7. 00:16
Opera "La Boheme"

Giacomo Puccini [1858∼1924]





제2막 중 뮤제타의 왈츠 (Quando mén vo')
Renata Tebaldi, Soprano

라보엠은 푸치니의 네 번째 오페라로, 그 풍부한 선율과 애절한 내용으로 그가 쓴 작품 중 가장 성공적이다. 이 오페라는 프랑스의 시인 앙리 뮈르제(Henry Murger)의 소설 [보헤미안의 생활, Scenes de la vie de Boheme]에서 쟈코사(Giacosa)와 일리카(Illica)가 대사를 쓴 것인데, 푸치니는 같은 내용으로 작품을 만든 레온카발로처럼 뮈르제의 원작에 구애되지 않고 대본을 써서 성공을 거두었다. 대본 작가 일리카가 전체적인 틀을 짧고 시 부분은 대시인 쟈코사가 손을 보아 초일류의 맛을 풍긴다.

병으로 죽은 라 보엠의 여주인공 미미는 라 트라비아타 (La Traviata)의 여주인공 비올렛타와 닮았다. 그러나 라 트라비아타가 사회적으로 금기된 사랑과 결혼을 다루었다면, 라 보엠은 전혀 결혼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고 있다. 여자들은 보헤미안 기질의 가난한 애인을 두고 같이 살다가, 또 더욱 사치스런 생활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부자를 찾아 떠나가기도 한다. (이러한 면은 오페라에서 확연히 나타나지는 않으나 뮈르제의 원작 소설에는 잘 나타나 있다.)

원작 : 앙리 뮈르제 (Henry Murger)저 "보헤미안의 생활"
대본 : 루이지 일리카 (Luigi Illica) 와 주세페 쟈코사 (Giuseppe Giacosa)
작곡 : 쟈코모 푸치니 (Giacomo Puccini)
초연 : 1896년 2월 1일 왕립 오페라극장 (토리노,Turin)
배경 : 1830년경 파리

등장인물
로돌포(Rodolfo), 미미(Mimi), 마르첼로(Marcello), 무젯따(Musetta), 꼴리네(Colline), 쇼나르(Schaunard), 베노아(Benoit), 알친도로(Alcindoro), 파삐뇰(Papignol), 하사관(Soldiers), 귀족, 멋쟁이, 화류계의여인

제1막 때는 1830년경, 크리스마스 이브. 곳은 빠리 라틴 쿼터안의 낡은 하숙 아파트

막이 오르면 가난하면서도 희망에 찬 네 사람의 낙천가(樂天家) 예술동지들이 우거하는 아파트 다락방이 된다. 화가 마르첼로는 "홍해(紅海)의 통로"라는 그림을 열심히 그리고 있고, 시인 로돌포는 자기네 굴뚝에서만 연기가 안 나오는 바깥 광경을 보다가 자기가 쓴 소설 원고를 차디 찬 스토브에 불질러 방을 덥게 해본다. 책을 저당 잡히려고 나갔던 철학가 꼴리네는 휴일이어서 그대로 책을 들고 불쾌한 기분으로 들어온다.

조금후 돈을 번 음악가 쇼나르는 아이들에게 장작, 술, 음식 등을 들리워 가지고 유쾌하게 들어와 침울한 방 기분을 즐겁게 만들고는 이 즐거운 밤에 여기서 이럴 게 아니고 나가서 식사하자고 동의하여 나가기로 한다. 집주인 베노아가 집세 청구서를 들고 들어와 돈을 재촉한다. 네 친구들은 술을 취하도록 먹이고는 얼렁뚱땅 내쫓는다. 카페 모무스로 향하자 하고 출발하려 할 때 시인 로돌포는 조금 남은 원고를 맞추고 곧 뒤따르기로 약속하고 글을 쓰고 있을 때.

꺼진 촛불을 얻으려 문을 두드리고 나타나는 아리따운 처녀를 맞아들인다. 불을 켜 주었으나 바람에 꺼지자 다시 켜 주고는 몰래 일부러 꺼뜨린다. 방바닥에 떨어뜨린 열쇠를 더듬어 찾는 두 손길이 마주치자 여인의 손을 붙잡은 로돌포는 그대의 작은 손이 왜 이다지도 차가운가! 그대의 찬손 (che gelida manina)의 아리아를 부르며 자기의 생활과 신분을 말해주고는 이름을 묻는 로돌포에게 나는 미미라고 합니다 (mi chiamano mimi)의 아리아로 역시 자기의 신분, 수와 바느질로 생활하는 독신의 처녀임을 말한다. 밖에서 들려오는 세 친구의 빨리 가자고 하는 독촉의 소리를 듣고 곧 갈 터이니 한자리를 더 만들어 놓으라 소리치고, 사랑의 싹이 움튼 두 청춘은 사랑의 2중창 오 사랑스런 아가씨 (O soave fanciulla)을 힘차게 부르며 모무스로 향한다.


그대의 찬손 (Che gelida manina)
Luciano Pavarotti


나는 미미라고 합니다 (mi chiamano mimi)


오 사랑스런 아가씨 (O soave fanciulla)
Nicolai Gedda, Tenor / Mirella Freni, Soprano

제2막 크리스마스 이브로 밀리는 인파 속에 상인과 아이들의 소요한 소리로 모무스 거리는 소란하다

자칭 대 예술가들인 세 친구 앞에 로돌포는 미미와 같이 나타난다. 오는 도중에 사준 분홍모자를 든 미미를 소개하고 음식을 주문한다. 미미는 모자를 선택한 로돌포의 고상한 취미를 칭찬 한다. 이 식당으로 들어오는 무젯따(과거 화가 마르첼로와 사랑하던 요염한 여인)가 한 늙은 귀족과 같이 나타나는데 몹시 난폭하게 그 늙은 귀족을 다룬다.

마르첼로가 와 있는 것을 본 무젯따는 자기의 존재를 인식해 달라는 듯이 행동해도 못 본 체하는 마르첼로의 태도에 분개하여 접시를 던지는 등 난동을 부리면서 "자기가 길을 걸어갈 때는 모든 남성들이 넋을 잃고 바라본다. 한 때는 마르첼로도 정신을 잃었었노라"라는 내용의 무제타의 왈츠(Quando me'n vo)를 부르 며 옛 애인의 주목을 끌려고 애쓴다. 갑자기 발이 아프다고 소리를 지르며 늙은 귀족 알친도로 영감에게 신발 한 짝을 벗어주며 새 신을 사오게(고의로 꾸민 장난) 밖으로 내 보내고는 마르 첼로에게 달려가자 두 사람은 옛정이 다시 솟아 포옹한다.


제2막 중 뮤제타의 왈츠 (Quando mén vo')
Renata Tebaldi, Soprano

웨이터가 청구서를 내밀자 마침 지나가는 군악대를 본 이 보헤미안들은 뛰어 나가면서 알친도로 영감에게 계산을 미루고 만다. 헐떡이며 찾아 들어온 영감에겐 애인은 안 보이고 받아든 비싼 청구서를 들여다보다가 맥없이 주저앉는다.

제3막 빠리의 세관 옆

2개월이 지났다. 이른 새벽에 성문이 열리면 교외에서 농촌 여성들이 각기 야채를 비롯한 갖가지 농산ㅁ물을 팔려고 몰려든다. 무제타와 함께 일하고 있는 마르첼로의 주막에 찾아온 미미가 로돌포의 마음이 요즘 갑자기 차갑게 변했다고 하소연한다. 질투심이 강한 로돌포와의 불화로 이제 지칠대로 지친 미미를 어떻게 달래야 할지 마르첼로는 망연해 할 따름이다. 사실은 미미가 찾아오기 전에 벌써 온 로돌포가 주막 안에 잠들어 있는 중이었다. 로돌포가 깨어나 밖으로 나오는 기척에 미미는 서둘러 나무 그늘에 숨는다. 미미는 바람끼가 있는 여자야!(Mimì è una civetta) 하며 그녀와 헤어지겠다고 뇌까리는 로돌포를 마르첼로가 마음에도 없는 공연한 소리를 하지 말라고 나무라니까 드디어 본심을 말한다. 실은 그녀의 병이 심각해(Mimì è tanto malata!) 나 같은 가난뱅이 시인과 살다가는 목숨을 줄일 뿐이야. 그래서..." 문득 나무 그늘에서 미미의 흐느끼는 소리를 듣고 깜짝 놀라는 로돌포에게 그녀는 조용히 이별의 아리아 안녕, 이제 돌아가렵니다, 당신의 사랑의 부름을 좇아 떠났던 옛집으로..(Donde lieta uscì)를 부른다. 이때 무제타가 다른 남자와 다정하게 희희닥거리고 있는 광경을 본 마르첼로가 질투심에 불을 켜고 한바탕 요란하게 욕지거리를 퍼부으며 싸움판을 벌인다. 결국 두 쌍의 연인이 이별의 '4중창(Addio, dolce svegliare)'을 부르는 속에 막이 내린다.


미미는 바람끼가 있는 여자야! (Mimì è una civetta)


실은 그녀의 병이 심각해 (Mimì è tanto malata!)


안녕, 이제 돌아가렵니다, 당신의 사랑의 부름을 좇아 떠났던 옛집으로..(Donde lieta)

제4막 다락방

옛 친구들이 다시 그전의 생활로 돌아와 있다. 로돌포와 마르첼로는 좀처럼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아 옛 애인을 그리며 2중창 이제 미미는 돌아오지 않는다 (O Mimì, tu più non torni)를 노래한다. 그러나 옛 애인들의 생각이 간절하여 일이 제대로 안돼 투덜댄다. "무젯따가 벨벳옷을 입고 4륜마차를 타고 가는데 공작부인 같더라"는 이야기를 로돌포가 하면 "미미는 어떤 공작의 에스코트를 받으며 마차로 행차하 더라"고 마르첼로가 응수하는 등 피차 잘된 여인들의 행운을 감사한다. 음악가 쇼나르와 철학자 꼴리네가 음식을 들고와 식사를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때, 미미의 친구 무젯따가 황급히 뛰어들며 미미가 중병으로 고생하는데 이 집 아랫층까지 왔다하여 로돌포는 달려 내려가 부축하여 올라와 침대에 눕힌다.


이제 미미는 돌아오지 않는다 (O Mimì, tu più non torni)

로돌포 옛 친구 품에 안겨 눈을 감고 싶어 공작과 헤어져 왔음을 무젯따가 설명해준다. 몹시 추워하는 모양을 본 무젯따는 귀걸이를 떼어 저당 잡혀 얻은 돈으로 의사를 데리고 오도록 분부하는가 하면, 꼴리네는 오랫동안 신세진 자기의 외투를 벗어들고 이것도 전당포 신세를 지어야겠다 하며 외투의 노래(Vecchia zimarra, senti)의 아리아를 부르고 나간다. 쇼나르가 더운물을 준비하러, 그리고 무젯따도 나가면 남은 미미와 로돌포는 그들이 처음 만났던 일로부터 기억을 더듬으며 즐겁게 이야기를 나눈다.


외투의 노래 (Vecchia zimarra, senti)

나갔던 모든 친구들이 돌아 왔을 때에는 미미의 고통이 더 심해진다. 무젯따가 털 토시를 끼워준 덕에 손이 따뜻해져서 잠을 잘 수 있겠다 하며 잠이 든다. 미미의 눈에 비치는 아침 햇살을 막아 주려고 로돌포는 커튼을 치며 "이제 잠이 잘 들었군!"한다. 옆에 서 있는 마르첼로는 미미가 운명한 것을 미리 알고 로돌포를 감싸안으며 용기를 잃지 않도록 격려하는 태도와 자기를 묵묵히 쳐다보는 친구들의 거동을 보며 눈치챈 로돌포는 목멘 소리로 애처로이 미미의 이름을 부르며 미미 위에 머리를 숙인 친구들의 숙연한 분위기 속에 마지막 막이 내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