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상담심리 자료실

[스크랩] 「쾌락 원칙을 넘어서(박찬부 옮김)」 번역 비판 - 섹션 2

힐링&바이블센터 2006. 4. 29. 14:27
「쾌락 원리를 넘어서」의 섹션 1, 2의 초벌 번역을 마쳤습니다

「쾌락 원리를 넘어서」의 섹션 1, 2의 초벌 번역을 마쳤습니다.

초벌 번역은 http://cafe.daum.net/Psychoanalyse <추천 번역> 자료실에 있습니다.

 

 

**********************************************

 

 

「쾌락 원칙을 넘어서(박찬부 옮김),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지그문트 프로이트 지음, 윤희기·박찬부 옮김, 열린책들, 2003.

“이 책의 번역 대본으로는 The Hogarth Press and the Institute of Psycho-Analysis에서 펴낸 『표준판 전집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을 이용했다. - 박찬부”

 

독일어판 : Jenseits des Lustprinzips, Gesammelte Werke(독일어판 프로이트 전집), 13권』, Sigmund Freud, S. Fischer Verlag.

 

영역판 :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18권』, James Strachey 편집, The Hogarth Press.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276쪽 :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으로 주관적인 병의 표시가 두드러지게 특징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이런 점에서 그것은 심기증Hypochondrie 또는 우울증Melancholie을 닮았다), 그리고 정신 기능이 훨씬 더 광범위한 전신 쇠약과 전신 장애의 조짐을 보인다는 점에서 히스테리의 증상적 특성을 뛰어넘는다.

 

번역 수정 : 하지만 이것은 주관적 고통의 징후가 두드러진다는 점 - 예컨대 심기증Hypochondrie(hypochondria)이나 울병Melancholie(melancholia)에서처럼 - 에서 그리고 훨씬 더 광범위한 전신 쇠약과 정신기능의 파탄의 증거가 있다는 점에서 보통 히스테리를 뛰어넘는다.

 

독일어판, 9쪽 : [Das Zustandsbild der traumatischen Neurose] übertrifft diese aber in der Regel durch die stark ausgebildeten Anzeichen subjektiven Leidens, etwa wie bei einer Hypochondrie oder Melancholie, und durch die Beweise einer weit umfassenderen allgemeinen Schwächung und Zerrüttung der seelischen Leistungen.

 

영역판, 12쪽 : but [the symptomatic picture presented by traumatic neurosis] surpasses it as a rule in its strongly marked signs of subjective ailment (in which it resembles hypochondria or melancholia) as well as in the evidence it gives of a far more comprehensive general enfeeblement and disturbance of the mental capacities.

 

a.       durch die Beweise einer weit umfassenderen allgemeinen Schwächung und Zerrüttung der seelischen Leistungen(in the evidence it gives of a far more comprehensive general enfeeblement and disturbance of the mental capacities, 훨씬 더 광범위한 전신 쇠약과 정신기능의 파탄의 증거가 있다)”을 “정신 기능이 훨씬 더 광범위한 전신 쇠약과 전신 장애의 조짐을 보인다”으로 번역했다.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276쪽 : 보통의 외상성 신경증의 경우에 두 가지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

 

번역 수정 : 보통의 외상성 신경증에서는 고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 두 가지 특징이 두드러진다: ...

 

독일어판, 9쪽 : an der gemeinen traumatsichen Neurose heben sich zwei Züge hevor, an welche die Überlegung anknüpfen konnte, ...

 

영역판, 12쪽 : In the case of the ordinary traumatic neuroses two characteristics emerge prominently: ...

 

a.       영역판에서 “an welche die Überlegung anknüpfen konnte(고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을 빼먹었다.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277쪽 : 이 경우 환자는 그의 외상에 고착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으리라.

 

번역 수정 : 환자가 외상에 말하자면 정신적으로 고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독일어판, 10쪽 : Der Kranke sei an das Trauma sozusagen psychisch fixiert.

 

영역판, 13쪽 : the patient is, as one might say, fixated to his trauma.

 

a.       영역판에서는 ‘psychisch(정신적으로)’의 번역이 빠졌다.

b.      “있으리라”는 문제가 있는 번역이다. 바로 위의 문장과 함께 보자. “외상적 경험이 환자의 잠으로까지 계속해서 다시 파고든다는 사실은 그 경험이 남긴 인상이 강렬했다는 증거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환자가 외상에 말하자면 정신적으로 고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환자가 외상에 정신적으로 고착되어 있다”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프로이트가 아니라 “외상적 경험이 환자의 잠으로까지 계속해서 다시 파고든다는 사실은 그 경험이 남긴 인상이 강렬했다는 증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277쪽 : 그러나 나는 외상성 신경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들이 그들의 의식적 생활 속에서 과거 사건의 기억에 많이 몰두해 있는지 여부는 모르겠다.

 

번역 수정 : 하지만 외상성 신경증 환자가 깨어있을 때 사고의 기억에 많이 몰두한다는 이야기를 나는 들어보지 못했다.

 

독일어판, 10쪽 : Allein es ist mir nicht bekannt, daß die an traumatischer Neurose Krankenden sich im Wachleben viel mit der Erinnerung an ihren Unfall beschäftigen.

 

영역판, 13쪽 : I am not aware, however, that patients suffering from traumatic neurosis are much occupied in their waking lives with memories of their accident.

 

a.       Wachleben(waking lives, 깨어있을 때)”을 “의식적 생활”이라고 번역해서는 안된다. ‘의식’은 프로이트의 이론에 있어 아주 중요한 개념이다.

b.      “여부는 모르겠다”는 문제가 있는 번역이다. 프로이트는 “기억에 많이 몰두”하는지 여부를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기억에 많이 몰두”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다.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278쪽 : 만약 우리가 외상성 신경증 환자들의 꿈속에서 드러나는 꿈의 소원 성취적 취의(趣意)에 대해서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 아직도 우리에게 열려 있는 하나의 지략적 차원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 우리는 꿈꾸기의 기능이 이 상황에서는 다른 많은 것들처럼 전도되어 있고 원래의 목적으로부터 일탈되어 있다고 주장할 수 있으며 혹은 자아의 신비스런 자기 학대적 경향을 숙고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번역 수정 : 사고 신경증 환자Unfallsneurotiker(traumatic neurotics)의 꿈 때문에 꿈의 소원 성취 경향과 관련해서 혼란에 빠지지 않기 위한 방책이 아직 없는 것은 아니다. 다른 많은 경우에 그렇듯이 이 상태[외상성 신경증]에서도 꿈기능이 교란되어 그 목적에서 일탈했다고 생각하면 된다. 아니면 수수께끼 같은 자아의 마조히즘적 경향을 가정해야 한다.

 

독일어판, 11쪽 : Sollen wir durch die Träume der Unfallsneurotiker nicht an der wunscherfüllenden Tendenz des Traumes irre werden, so bliebt uns etwa noch die Auskunft, bei diesem Zustand sei wie so vieles andere auch die Traumfunktion erschüttert und von ihren Absichten abgelenkt worden, oder wir müßten der rätselhaften masochistischen Tendenzen des Ichs gedenken.

 

영역판, 13쪽 : If we are not to be shaken in our belief in the wish-fulfilling tenor of dreams by the dreams of traumatic neurotics, we still have one resource open to us: we may argue that the function of dreaming, like so much else, is upset in this condition and diverted from its purposes, or we may be driven to reflect on the mysterious masochistic trends of the ego.

 

a.       영역판에서 Unfallsneurotiker(사고 신경증 환자)traumatic neurotics(외상성 신경증 환자)라고 번역했는데 더 정밀하게 번역했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b.      by’를 잘못 번역했다. shaken ... by”이지 “dreams by”가 아니라.

c.      하나의 지략적 차원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는 도대체 무슨 뜻인가?

d.      erschüttert(is upset, 교란되어)”를 “전도되어”로 번역해서는 안된다. ‘교란’과 ‘전도’는 뜻이 다르다.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279쪽 : 동시에 그는 손수 자신을 먹여 길러 줄 뿐만 아니라 외부의 도움 없이 자신을 보살펴 주는 어머니에 대해서 큰 애착을 갖고 있었다.

 

번역 수정 :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신에게 모유를 먹여주었을 뿐 아니라 남의 도움 없이 자신을 돌봐주고 보살펴주었던 어머니에게 애착을 느끼고 있었음에도 ...

 

a.       selbst genährt, 12(fed ... herself, 14)은 모유를 먹여주었다는 뜻이다. 이것을 먹여 길러라고 번역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예컨대 프로이트의 입의 단계(구강기)라는 개념을 생각할 때 모유를 먹였는지 여부는 중요한 함의를 품을 수 있다.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279쪽 : 이런 짓을 하면서 그 아이는 관심과 만족의 표현이 수반된 크고 오래 끄는 <---> 소리를 냈다.

 

번역 수정 : 그 아이는 그러면서 크고 길게 늘어지는 ---o-o-o-o 소리를 내질렀는데 흥미와 만족을 드러내는 표정을 지었다.

 

a.       Ausdruck, 12(expression, 14)표현이 아니라 표정으로 번역되어야 한다.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280쪽 : 그렇다면 그것은 사라짐과 돌아옴이라는 완벽한 놀이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첫번째 행위만 목격했다. 그것은 하나의 놀이로 지칠 줄 모르고 반복되었다.

 

번역 수정 : 따라서 사라짐과 되돌아옴이 합쳐져야 완전한 놀이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의심의 여지없이 더 큰 쾌락은 두 번째 행위에 달려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통은 첫 번째 행위만 관찰되었으며 첫 번째 행위 그 자체만으로 놀이로서 지치지 않고 되풀이되었다.

 

독일어판, 12쪽 : Das war also das komplette Spiel, Verschwinden und Wiederkommen, wovon man zumeist nur den ersten Akt zu sehen bekam, und dieser wurde für sich allein unermüdlich als Spiel wiederholt, obwohl die größere Lust unzweifelhaft dem zweiten Akt anhing.

 

영역판, 15쪽 : This, then, was the complete game disappearance and return. As a rule one only witnessed its first act, which was repeated untiringly as a game in itself, though there is no doubt that the greater pleasure was attached to the second act.

 

a.       obwohl die größere Lust unzweifelhaft dem zweiten Akt anhing(though there is no doubt that the greater pleasure was attached to the second act, 의심의 여지없이 더 큰 쾌락은 두 번째 행위에 달려있음에도 불구하고)”가 빠졌다.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280, 16 : 어느 날 그 아이의 어머니가 여러 시간 동안 밖에 나가 있다가 돌아오자 바로 그의 <---> 소리를 듣게 되었다.

 

번역 수정 : 어느 날 어머니가 여러 시간 동안 나가 있다가 되돌아오자 그 아이가 “아기 오---!Bebi o-o-o-o!(Baby o-o-o-o!)”라는 말로 맞이했다.

 

a.       {아기 오---!Bebi o-o-o-o!(Baby o-o-o-o!)} {그의 <--->}로 잘못 번역되었다. Bebi(Baby, 아기)는 그 아이가 한 말이다.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281쪽 : 그러나 이것에 반해서, 첫번째 행위, 즉 떠나감의 행위는 그 자체로 하나의 놀이로 무대에 올려졌고, 그것도 전체적 행위보다 더 자주 유쾌한 결말과 함께 상연되었다는 관찰된 사실을 고려해야만 한다.

 

번역 수정 : 하지만 관찰된 바에 의하면 첫 번째 행위 즉 떠나는 것이 그것 자체만으로 놀이로 연출되기도 했으며 게다가 쾌락에 찬 결말로 이끄는 전체 놀이보다 훨씬 자주 그랬다.

 

독일어판, 13쪽 : Dem würde die Beobachtung widersprechen, daß der erste Akt, das Fortgehen, für sich allein als Spiel inszeniert wurde, und zwar ungleich häufiger als das zum lustvollen Ende fortgeführte Ganze.

 

영역판, 16쪽 : But against this must be counted the observed fact that the first act, that of departure, was staged as a game in itself and far more frequently than the episode in its entirety, with its pleasurable ending.

 

a.       유쾌한 결말과 함께”는 잘못된 번역이다.

 

출처 : 정신분석학&프로이트&심리학
글쓴이 : 이덕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