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mphony No.39 in Eb major, K.543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작품설명
모차르트 '최후의 3대 교향곡' 중 첫 곡에 해당하는 E♭장조의 이 제 39번 교향곡은 우아한 비극적인 성격을 갖는 제 40번이나 장려한 제 41번에 비해 가장 모짜르트의 작품경향을 대표하는 생의 희열과 밝은 행복감을 그대로 나타낸 지극히 생동감 있는 음악입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진지한 슬픔과 멜랑콜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그가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부르는 기쁨의 노래라는 뜻으로 '백조의 노래'라고 불리우기도 합니다. 이 무렵의 작곡자의 어두운 환경에서도 전연 그러한 기색을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경묘한 감각과 화려한 색체감으로 산뜻한 맛을 주기도 합니다.
모짜르트의 오페라 <돈 지오반니>는 프라하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빈에서의 초연에 대한 반응은 그리 좋지 않아, 그의 인기는 떨어지기 시작했으며 경제적 궁핍은 점점 심해졌다. 이러한 현실적 어려움 속에서도 모짜르트는 1788년 6월부터 8월까지 6주간에 걸쳐 무려 세 곡의 교향곡을 작곡해낸다. 그가 3년 뒤 세상을 떠날 때까지 더 이상의 교향곡은 쓰지 않았기 때문에, 이 세 작품을 가리켜 '최후의 3대 교향곡'이라 부른다. 따라서 이 세 곡의 교향곡들은 고전파 교향곡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모든 요소들이 망라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놀라운 점은 그토록 짧은 기간에 세 편의 교향곡을 써내려가면서도, 각 작품들 사이에 유사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각각의 독자성을 최대한 발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이 모짜르트의 생애 중에 연주되었다는 기록은 없다. 그러나 작곡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작품의 필사보가 만들어져 오늘날까지 유럽 각국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 작품이 당시에 널리 연주되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모차르트 '최후의 3대 교향곡' 중 첫 곡에 해당하는 E♭장조의 이 제 39번 교향곡은 우아한 비극적인 성격을 갖는 제 40번이나 장려한 제 41번에 비해 가장 모짜르트의 작품경향을 대표하는 생의 희열과 밝은 행복감을 그대로 나타낸 지극히 생동감 있는 음악입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진지한 슬픔과 멜랑콜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그가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부르는 기쁨의 노래라는 뜻으로 '백조의 노래'라고 불리우기도 합니다. 이 무렵의 작곡자의 어두운 환경에서도 전연 그러한 기색을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경묘한 감각과 화려한 색체감으로 산뜻한 맛을 주기도 합니다.
모짜르트의 오페라 <돈 지오반니>는 프라하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빈에서의 초연에 대한 반응은 그리 좋지 않아, 그의 인기는 떨어지기 시작했으며 경제적 궁핍은 점점 심해졌다. 이러한 현실적 어려움 속에서도 모짜르트는 1788년 6월부터 8월까지 6주간에 걸쳐 무려 세 곡의 교향곡을 작곡해낸다. 그가 3년 뒤 세상을 떠날 때까지 더 이상의 교향곡은 쓰지 않았기 때문에, 이 세 작품을 가리켜 '최후의 3대 교향곡'이라 부른다. 따라서 이 세 곡의 교향곡들은 고전파 교향곡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모든 요소들이 망라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놀라운 점은 그토록 짧은 기간에 세 편의 교향곡을 써내려가면서도, 각 작품들 사이에 유사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각각의 독자성을 최대한 발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이 모짜르트의 생애 중에 연주되었다는 기록은 없다. 그러나 작곡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작품의 필사보가 만들어져 오늘날까지 유럽 각국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 작품이 당시에 널리 연주되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정서공간 > 음악이 있는곳(팝송,클라식,째즈,가요, 동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차르트 / 교향곡 41번 다장조, 쥬피터 (0) | 2008.02.07 |
---|---|
모차르트 / 교향곡 40번 사단조 (0) | 2008.02.07 |
모차르트 / 교향곡 38번 라장조, 프라하 (0) | 2008.02.07 |
모차르트 / 교향곡 36번 다장조, 린츠 (0) | 2008.02.07 |
모차르트 / 교향곡 35번 라장조, 하프너 (0) | 2008.02.07 |